주공 민간체제 개편
2008. 2. 4. 09:50ㆍ카테고리 없음
대한주택공사가 창사 45년 만에 처음으로 조직을 민간경영체제로 대폭 개편, 성공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공은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간부직인 실·처장과 팀장급 중 절반 이상을 바꾸고 종전에 실·처장급이 맡았던 1급 자리에 2급 팀장급을 배치,그동안 `연공서열`을 중시해 온 주공 임직원들에게 충격을 줬다.
이 같은 조직개편은 민간 건설사인 대우건설의 최고경영자(CEO) 출신인 박세흠 사장이 주도하고 있다.
박 사장은 지난해 3월 취임 이후 "주공에 와보니 효율성이 떨어지는 조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앞으로 대대적인 수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누차 강조했다.
하지만 이번 조직개편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과제가 많다. 일단 `참여정부`의 공기업 수장이라는 태생적 한계가 있다. 전임 한행수 사장이 물러난 뒤 공모절차를 거쳤지만 박 사장의 임명을 놓고 뒷말이 무성했던 게 사실이다. 이 점에서 새 정부에서 박 사장의 선택의 폭은 좁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여기에 수십년 동안에 걸쳐 형성된 직원들의 공기업 정서 및 의식을 한꺼번에 바꾸는 것도 걸림돌 중 하나다. 특히 `철밥통`이라는 공기업 이미지에서 환골탈태하는 자세로 거듭날지 눈여겨볼 일이다.
이런 분위기에도 박 사장의 이번 시도는 최근 공기업 구조조정과 맞물려 시의적절하다는 평가다. 45년간 직종별 조직의 틀을 깨고 민간기업처럼 책임을 강조하는 사업부제 개편, 내부적으로 치열한 경쟁시대를 열었기 때문이다.
주공은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간부직인 실·처장과 팀장급 중 절반 이상을 바꾸고 종전에 실·처장급이 맡았던 1급 자리에 2급 팀장급을 배치,그동안 `연공서열`을 중시해 온 주공 임직원들에게 충격을 줬다.
이 같은 조직개편은 민간 건설사인 대우건설의 최고경영자(CEO) 출신인 박세흠 사장이 주도하고 있다.
박 사장은 지난해 3월 취임 이후 "주공에 와보니 효율성이 떨어지는 조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앞으로 대대적인 수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누차 강조했다.
하지만 이번 조직개편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과제가 많다. 일단 `참여정부`의 공기업 수장이라는 태생적 한계가 있다. 전임 한행수 사장이 물러난 뒤 공모절차를 거쳤지만 박 사장의 임명을 놓고 뒷말이 무성했던 게 사실이다. 이 점에서 새 정부에서 박 사장의 선택의 폭은 좁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여기에 수십년 동안에 걸쳐 형성된 직원들의 공기업 정서 및 의식을 한꺼번에 바꾸는 것도 걸림돌 중 하나다. 특히 `철밥통`이라는 공기업 이미지에서 환골탈태하는 자세로 거듭날지 눈여겨볼 일이다.
이런 분위기에도 박 사장의 이번 시도는 최근 공기업 구조조정과 맞물려 시의적절하다는 평가다. 45년간 직종별 조직의 틀을 깨고 민간기업처럼 책임을 강조하는 사업부제 개편, 내부적으로 치열한 경쟁시대를 열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