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7. 3. 13:10ㆍC.E.O 경영 자료
한국병, 무조건 저질러놓고 보자. 일단 뇌물 받고 보자.
사전준비기간부족, 결과 후폭풍 전혀 고려 안해...실정 상반 결과 초래
유승민이 즉각 사죄 사퇴 하는게 맞다.
국민 여러분! 이번에 확실히 뭔가를 알고 이해하고 넘어 갑시다.
우리나라엔 분명 대선병이 암처럼 존재한다는건 알고 있는 사실이고,
모든건 이 대선병에서 파생된 결과가 곧 지금의 대한민국입니다.
핵심 정치인들의 모든 초첨은 대통령이 최종 목표인데
성과 결과와 정치자금을 절대 필요로 합니다.
다른 선진국들은 100년 50년 30년 200년 소요된 사안들을
몇몇 핵심 정치인이 단번에 결정해 버립니다.
만약 G2국가나 다른 선직국들을 놓고 분석해보면
있을 수 없는 역행이자 상반입니다.
이는 역설적으로 정도있게 추진 했으면 역사에 칭찬 받을 일 이
되었을 것 들 입니다.
이런 유형의 결과 대실패 사례로는 순서별로....
1) 뉴타운 재개발 정책의 실패=건설업 및 관련업종 10년 이상 고사.
(전혀 뒷 대책이 없이 왕 고집 바로 시행 결과=미국 등 순환 사례 상반 )
2) 4대강 사업, 자원외교
(4대강 100년 준비기간 필요=그냥 현금을 강 에다 마구 버림)
(자원외교=사기 하베스트 부실인수 석유공사 사장 5000억 배임 구속 등)
이 두가지 이외에도 G2 발전사를 중심으로 주요 선진국을 분석해보면
너무나 많습니다.
문제는 이와 관련된 인물들이 암을 치료하지 않고(반성 개선 없이)
똑같은 방법으로 왕고집으로 국가 대사들을 일 보고 있습니다.
또 무슨 일이 벌어지고 후폭풍은 어떻게 감당해낼지 상상조차 안됩니다.
필요로 하는 시간을 무시한 처사는 국가를 망 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다 설명 할 수 없기에...이정도만 하고
유승민씨 이야기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유승민씨가 여당의 원내대표였냐? 야당 도와주는 대표였냐?
그것이 관건이 된 것이 유승민 사태입니다.
유승민씨가 그간 발언행동들 대부분은 좋은 취지의 발언들이었고
확실히 맞는것도 많긴 합니다.
그러나 소요시간무시와 당규무시 결과적으로 사심이 발견 되었습니다.
유승민씨가 야당성으로 발언행동 결과를 연출하려면...
우선 먼저 새누리당 당규부터 변경돼 있어야 합니다.
당원규정엔 제8조 당과 대통령의 관계
대통령에 당선된 당원은 당의 정강·정책을 충실히 국정에 반영하고
당은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적극 뒷받침하며 그
‘’“결과에 대하여 대통령과 함께 국민에게 책임“”을 진다.
당정은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하여 긴밀한 협조관계를 구축한다고
규정돼 있습니다.
다른 유형의 국가 대사건과 마찬가지로
먼저 세심하게 사전 작업없는 후폭풍 준비성 없는 사건입니다.
이런 결과들로?
국민들이 현혹돼 넘어가......
나라와 국민들은 ..... 다른 선진국들처럼 자연스럽게 순환이 안되고
분열과 스톱 현상을 보여서 빛더미 눌리고 눌러 살아가고 있습니다.
결론
사심입니다. 한국인의 왕고집입니다.
과거 일들을 반성하고 거울 삼아 개선해가야 합니다.
(왕고집은 장단점이 있다는 설명)
해결책
국가 대사적인 일을 벌릴때에는......
충분한 사전 준비와 충분한 시간
반드시 후폭풍을 연구분석하고 현실성에 맞는 후폭풍 대응책을
같이 발표해야 합니다.
더 이상 구태적으로
무조건 저질러고 보자. 무조건 뇌물은 일단 받고보자???!!!
국가적으로 모든 각계가 나서서... 국민분들이 나서서
치료해가기 시작해야 합니다.
PS : 물론 이 글 사안도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면 안됩니다.
이유는???
잘못된 현실 이지만 현실과 상반되며
역사는 하루 아침에 이뤄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별도
유승민씨는 사심으로 현실과 상반되게 법규를 위반 하셨습니다.
마지막 아름다움을 기대해 보겠습니다.
참고
박통께서 현실적 논리적으론
일단은 최대한 노력해 나가고 있다고 분석 됨.
현실적으로 신뢰성 있다 결론 임.
2015.7.3
정외철
'C.E.O 경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끝없는 연습이 천재를 만든다 (0) | 2015.07.03 |
---|---|
최저임금 시급·월급 병기 합의…논의 속도 붙을듯 (0) | 2015.07.03 |
비상식적인 것이 창조의 씨앗이 된다 (0) | 2015.07.02 |
리커창, OECD본부 연설서 ‘중국 발전 3가지’ 밝혀 (0) | 2015.07.02 |
10년 안에 현존 기업의 40%는 사라질 것이다 (0) | 201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