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20대 부자' 재산, 한국 전체 예산의 2배 넘어

2015. 12. 3. 22:12C.E.O 경영 자료

미국 '20대 부자' 재산, 한국 전체 예산의 2배 넘어

미국인 상위 50%인 1억5천200만명 재산과 비슷한 수준

 

연합뉴스 | 입력 2015.12.03. 05:43

미국인 상위 50%인 1억5천200만명 재산과 비슷한 수준

(뉴욕=연합뉴스) 이강원 특파원 = 페이스북 창업자인 마크 저커버그(31)가 딸 출산을 계기로 페이스북 지분 99%를 사회에 환원한다고 발표하자 억만장자들의 재산 규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런 가운데 2일(현지시간) 미국의 정책연구소(IPS)는 미국 내 '20대 부자'의 재산규모가 어느 정도나 되는지에 대한 통계를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미국 내 20대 부자의 전체 자산 규모는 7천320억 달러(851조6천620억 원)에 달한다. 이는 한국의 내년도 예산, 386조3천997억 원의 배가 훨씬 넘는 엄청난 규모다. 즉 한국의 2년간 예산보다도 많다는 얘기다.

멋진 부모님을 두었구나 맥스!  (멘로파크<美캘리포니아주> EPA=연합뉴스) 1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멘로파크에서 마크 저커버그(31)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오른쪽)와 소아과 전문의 프리실라 챈(30) 부부가 딸 맥스(Max)를 안고 있다.  이들은 페이스북 게시물을 통해 출산 소식을 알리고 딸에게 보내는 공개편지를 썼다. 저커버그 부부는 "모든 부모들처럼 우리는 네가 지금보다 더 나은 세상에서 자라기를 바란다"(Like all parents, we want you to grow up in a world better than ours today)며 보유 중인 페이스북 지분 중 99%를 살아 있을 때 챈 저커버그 이니셔티브에 기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현 시가로 따져서 450억 달러(약 52조 원)다. 저커버그는 세계 제7위의 부호다.
멋진 부모님을 두었구나 맥스! (멘로파크<美캘리포니아주> EPA=연합뉴스) 1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멘로파크에서 마크 저커버그(31)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오른쪽)와 소아과 전문의 프리실라 챈(30) 부부가 딸 맥스(Max)를 안고 있다. 이들은 페이스북 게시물을 통해 출산 소식을 알리고 딸에게 보내는 공개편지를 썼다. 저커버그 부부는 "모든 부모들처럼 우리는 네가 지금보다 더 나은 세상에서 자라기를 바란다"(Like all parents, we want you to grow up in a world better than ours today)며 보유 중인 페이스북 지분 중 99%를 살아 있을 때 챈 저커버그 이니셔티브에 기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현 시가로 따져서 450억 달러(약 52조 원)다. 저커버그는 세계 제7위의 부호다.
세계 100만불 이상 '부자' 1천460만명  (토론토·파리 AP=연합뉴스) 지난 해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 주식시장의 활황에 힘입어 전 세계적으로 100만달러 이상 자산 소유자가 기록적인 1천460만명에 달한 것으로, 6월 17일(현지시간) 글로벌 자산관리 컨설팅 전문 카프제미니와 RBC 웰스매니지먼트의 조사에서 나타났다. 작년 미국의 주가지표인 스탠더드 앤 푸어스 500지수는 11% 상승한 바 있다. bulls@yna.co.kr (끝)
세계 100만불 이상 '부자' 1천460만명 (토론토·파리 AP=연합뉴스) 지난 해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 주식시장의 활황에 힘입어 전 세계적으로 100만달러 이상 자산 소유자가 기록적인 1천460만명에 달한 것으로, 6월 17일(현지시간) 글로벌 자산관리 컨설팅 전문 카프제미니와 RBC 웰스매니지먼트의 조사에서 나타났다. 작년 미국의 주가지표인 스탠더드 앤 푸어스 500지수는 11% 상승한 바 있다. bulls@yna.co.kr (끝)

정책연구소는 이들 미국 내 20대 부자의 자산 규모는 미국 내 상위 50%에 속하는 1억5천200만 명의 재산을 모두 합친 것과 같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여기에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400대 부자'의 전체 재산은 무려 2조3천400억 달러(2천722조5천900억 원)나 된다.

이 연구소에서 빈부격차와 조세 문제를 총괄하는 조시 학시는 "이번 집계는 미국내 부가 극소수에게 편중됐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 연구소는 빈부 격차와 부의 편중을 해소하는 방안 가운데 하나로 부자들로부터 거둬들이는 직접세의 부과율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한다.

연구소 쪽은 미국내 상위 1%의 재산을 대상으로 단 1%의 세금을 물릴 경우 향후 10년간 2조6천억 달러(3천25조1천억 원)의 추가 세수가 발생한다고 추산했다.

이는 미국 연방정부가 교육과 환경보호 분야에 투입하는 전체 예산보다 많은 규모다.

과세 대상을 400대 부자로 좁혀 1%의 세금을 부과하면 추가로 발생하는 세원은 2천340억 달러(272조2천590억 원)에 달한다.

이와 관련, 미국의 유명 연구·조사기관, 퓨리서치의 집계를 보면 미국 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8만1천400달러(9천471만 원) 정도다.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의 13만5천700달러(1억5천789만 원)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gija00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