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12. 4. 19:57ㆍ이슈 뉴스스크랩
9·11 테러 이후 한국인 겨냥 테러 27개국서 92건 발생
지난2월 17일(현지시간) 이집트 시나이 타바 국경에서 한국인이 탑승한 관광버스가 폭탄테러를 당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사진은 당시 사고 현장 <
'한국 테러안전지대 아니다' 7일 학술세미나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2001년 9·11 테러사건 이후 지난해까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해외에서 발생한 테러 피해는 27개 국가에서 92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리카권역과 아시아·태평양권역에서는 주로 무장단체가 한국기업인과 교민, 현지에 파견된 건설근로자를 폭탄테러 등으로 공격했고 일부 한국인이 사망하거나 부상 또는 납치됐다.
중동권역에서는 탈레반 등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단체의 폭탄테러로 한국기업인과 근로자 등이 숨지거나 부상을 당했고 건설기업의 장비가 파괴되기도 했다.
유럽·미주권역에서는 극우단체 또는 국수주의자들에 의해 어학연수생과 유학생들이 폭행을 당해 다치거나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같은 내용은 이대성 동의대학교 교수가 국가정보원 테러정보통합센터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것이다.
이 교수는 7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5회의실에서 한국안보정책학회·국가안전정책학회가 'IS의 위협 한국은 국제테러리즘의 안전지대인가?'를 주제로 마련한 학술세미나에서 한국을 위협하는 국제테러리즘에 대해 설명한다.
이 교수는 "현재 입법 추진 중인 제19대 국회의 테러방지법(안)에서 국제테러리즘의 개념을 정치·종교·이념·민족적 측면의 테러리즘, 개인·경제적 측면 준-테러리즘, 군사적 측면의 게릴라전으로 구분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이 국제테러리즘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서는 미국처럼 '기능중심 통합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29개 국가기관으로 분산된 대테러 업무를 조정·통합할 가칭 '대테러리즘 위기관리센터'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파리 연쇄테러를 계기로 테러리즘 분석과 테러방지법의 쟁점 등을 논의하고자 마련된 이번 학술행사에서는 김상겸 동국대 교수(테러방지법의 쟁점과 그 방향성)와 주성빈 동의대 교수(사이버테러리즘에 대한 억지력 모색)도 주제발표를 하고 한국융합보안학회, 국가위기관리학회, 한국정책포럼, 국가안전정책학회 회원들과 토론을 벌인다.
ccho@yna.co.kr
'이슈 뉴스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인 53%, IS 격퇴위해 지상군 투입해야 (0) | 2015.12.07 |
---|---|
“대통령 처형·이석기 석방” 시위 함께한 새정치 패거리 (0) | 2015.12.06 |
테러방지법 고삐 죄는 與.."정기국회 내 처리해야" (0) | 2015.12.04 |
세계 마약지도 공개돼…한국은 아직까진 청정국 (0) | 2015.12.03 |
감사원 "공기업 해외자원개발 10여개 사업 우선 매각해야"( (0) | 2015.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