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이 388만7000원(2015년 12월 기준)으로 나타났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근로자 실질 임금은 2011년 이후 줄곧 상승해 2011년 273만원에서 2015년 300만원까지 올랐다.
지난해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대기업 대비 62.0%로,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2008년 이후 가장 낮았다. 제조업의 경우, 대기업은 근로자 300인 이상, 중기업은 300인 이하 50인 이상, 소기업은 50인 이하 근로자를 고용한 기업으로 분류된다.
1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대기업 근로자 임금은 월평균 501만6705원으로 전년보다 3.9% 올랐다. 같은 기간 상시근로자 중소기업 근로자 임금은 월평균 311만283원으로 3.4% 상승했다.
상용직과 일용직,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는 더 벌어졌다. 상용직과 일용직을 나눠 보면, 상용직의 1인당 월 평균 임금 총액은 414만원으로 전년 대비 6.9% 상승했다. 반면 임시·일용직 근로자들은 147만 원의 임금을 받아 3.7% 늘었다.
지난 3년간 대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 상승률을 비교해보면, 2013년 인상률은 대기업 3.6%, 중소기업 3.7%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2014년엔 대기업 근로자 임금이 5.3%, 중소기업은 2.4%로 인상률이 2배 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