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8. 7. 17:47ㆍC.E.O 경영 자료
베이비부머 4가구 중 1가구 노후 '절대 빈곤'<경기硏>
월평균 예상소득 176만4천원…68% "65세 이후에도 일하고 싶어"
(수원=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 경기지역 베이비부머가 예상하는 노후소득이 월평균 176만원4천원이고, 4가구 중 1가구는 최저생계비에도 모자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7일 경기연구원이 도내 전후기 베이비부머(전기 1955∼1963년생, 후기 1964∼1970년생) 85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들이 예상하는 2인 가구 기준 은퇴 후 노후소득(연금, 퇴직금 등)은 평균 월 176만4천원이었다.
베이비부머가 생각하는 최소한의 노후생활비는 월 185만8천원으로 조사돼 9만4천원의 차이가 있었다.
![]() |
|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올해 2인 가구 기준 최저생계비는 110만7천원이다.
주택·농지연금을 활용할 경우 노후소득이 최저생계비에 미치지 못하는 가구는 19%, 주택·농지연금을 활용하지 않을 경우 34%에 달했다.
결국, 베이비부머 4가구 가운데 1가구는 최저생계비에 못 미치는 절대적 빈곤이 예상된다고 경기연구원은 분석했다.
노후준비의 장애요인으로 대부분 자녀의 양육·교육비와 낮은 소득수준을 들었다.
자녀를 위한 지출비용은 연 1천57만원으로 조사돼 부모를 위한 비용 188만원과 현저한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퇴직 후 일할 의향을 묻는 질문에 68%가 '65세 이후에도 일하고 싶다'고 했다.
노후설계를 위한 상담이나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48%에 달했지만, 실제 상담이나 교육을 받아본 경험은 5%에 불과했다.
경기연구원 김도균 연구위원은 "베이비부머가 생산적이고 활동적인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기초연금 등 소득보장제도를 강화하고 주택·농지연금 활용 등 노후재무교육도 활성화해야 한다"며 경기도 노후준비지원협의회(가칭)를 통한 다층적인 지원서비스 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chan@yna.co.kr
'C.E.O 경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출 0원에서 25억 성장… 빅데이터 창업 성공기 (0) | 2016.08.07 |
---|---|
'킬로미터 빌딩' 시대 성큼..도시가 구름 위로 솟는다 (0) | 2016.08.07 |
우리나라가 부강해지려면??? (0) | 2016.08.07 |
[S 스토리] 집에서 즐기는 '스테이케이션'족 는다 (0) | 2016.08.06 |
대형개발 무덤 되나, 도시재생 기회 되나…묘지의 경제학 (0) | 2016.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