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8. 20. 19:04ㆍ이슈 뉴스스크랩
'최악의 악성 코드' 랜섬웨어 공격 급증…작년보다 4배
몸값지급 등 1건당 치료 비용도 33배 늘어
(뉴욕=연합뉴스) 박성제 특파원 = 개인이나 기업의 컴퓨터에 침입해 문서나 파일을 열지 못하도록 만드는 '랜섬웨어'(ransomware)의 공격이 올해 미국에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법무부의 자료를 인용해 올해 하루 평균 4천 건의 랜섬웨어 공격이 벌어지고 있다고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1년 전과 비교할 때 4배나 많은 것이다.
랜섬웨어는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침입해 컴퓨터에 저장된 문서나 파일 등을 열 수 없게 만드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 |
이메일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을 통해 침투하며, 랜섬웨어를 침투시킨 해커는 몸값(ransom)을 내면 파일을 복구시켜 주겠다고 협박한다.
랜섬웨어의 공격을 받은 사람들은 당국에 신고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 실제 공격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한다.
랜섬웨어를 침투시킨 해커는 대개 500달러(약 56만 원)에서 1천 달러를 요구하지만 많게는 3만 달러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고 사이버리스크 데이터 회사인 사이언스(Cyence)는 전했다.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할리우드 프레스비테리언 메디컬센터'는 지난 2월에 1만7천 달러를 주고 파일을 복구했다.
법무부는 몸값 외에 다른 비용까지 합치면 컴퓨터 이용자들이 올해 1∼3월에만 2억9천만 달러의 비용을 지불했다고 밝혔다. 한 건당 평균 33만3천 달러가 들어간 셈이다.
작년에 1년 동안 2천400만 달러, 건당 1만 달러가 들어간 것을 고려하면 컴퓨터 이용자들의 금전적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이다.
랜섬웨어의 공격이 늘어나는 것은 이 프로그램을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침투시키기가 쉽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개인들의 컴퓨터에 들어가 온라인 뱅킹 등으로 돈을 훔치는 것보다 간단하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비트코인이 지불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해 나가는 것도 랜섬웨어 공격의 증가와 관련 있다고 설명했다.
전자화폐인 비트코인은 전 세계 어디에서나 보낼 수 있고 익명으로도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랜섬웨어를 활용하는 해커의 입장에서 위험 부담이 많이 줄어든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sungje@yna.co.kr
'이슈 뉴스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화여대 사태, 대학의 위기③·끝] "정부시책 따르라" 설계부터 잘못된 대학 지원사업 (0) | 2016.08.22 |
---|---|
정부 "김정은, 테러단 파견 지시…우리 국민 위해 시도"(종합) (0) | 2016.08.21 |
'무고 범죄' 세계 1위…부끄러운 자화상 (0) | 2016.08.20 |
국민의당 "朴대통령, 자신이 만든 특감 스스로 부정" (0) | 2016.08.20 |
급발진 대처 요령.. '기어는 중립 브레이크는 길게 한 번' (0) | 2016.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