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kmib.co.kr/online_image/2017/1208/611718110011965884_1.jpg)
지하철을 이용할 때 카드를 단말기에 찍지 않고 개찰구를 지나가기만 하면 결제가 되는 시스템이 개발중이다.
8일 서울교통공사와 KT는 성동구 서울교통공사 본사에서 안전하고 깨끗한 ‘그린 서브웨이’ 실증 사업과 미래 대중교통기술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두 회사는 주로 지하철 공기 질 개선, 에너지 효율화, 안전사고 및 범죄 예방을 위한 기술을 연구하기로 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지하철 이용시 단말기에 카드를 대지 않고도 결제가 가능한 ‘오픈 게이트’와 범죄 예방을 위한 기술인 ‘세이프 메이트’다.
서울교통공사는 여러개의 카드 중 특정 한 가지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 등을 연구·개발중에 있고 KT는 실시간 에너지 소비 현황 분석 결과를 PC나 모바일에 보여주고 에너지 비용을 최적화해주는 ‘기가 아이즈’와 음성감지 비상벨 ‘세이프 메이트’, 실시간 공기질 측정이 가능한 솔루션 ‘기가 IoT(사물인터넷) 에어맵’ 등을 올해 연말까지 주요 역사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가 아이즈는 보안 서비스뿐 아니라 지능형 영상분석, 알림·출동, IoT(연기·동작·소리) 복합 알림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비명을 감지해 출동할 수 있는 음성 감지 비상벨 기술인 ‘세이프메이트’는 여자 화장실 등에서 비명소리를 감지할 수 있으며 기가 IoT 에어맵은 지하철역사의 공기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이용환경을 개선해준다.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KT와 협력을 통해 더욱 안전하고 깨끗한 교통 서비스를 제공해 서울지하철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만족도를 한층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안태훈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