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8. 13. 19:39ㆍC.E.O 경영 자료
전국 시군구 10곳 중 4곳 '소멸위험'..저출산 고령화 탓
백영미 입력 2018.08.13. 12:00
철원·부산중구·경주·김천 소멸위험지역 추가
'소멸위험' 읍면동도 5년 새 274개 늘어
【세종=뉴시스】백영미 기자 = 전국 시군구 및 읍면동 10곳 중 4곳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로 인해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3일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이 전국 시군구 및 읍면동의 지방소멸위험도를 분석한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 지역은 2013년 75개(32.9%)에서 2018년 89개(39%)로 증가했다.
특히, 강원 철원군(0.480), 부산 중구(0.491), 경북 경주시(0.496)와 김천시(0.496)는 소멸위험지수가 0.5미만인 소멸위험지역으로 2018년 새롭게 분류됐다. 경남 사천시(0.507)와 전북 완주군(0.509) 등도 연내 소멸위험지수가 0.5미만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소멸위험 지역이 농어촌 낙후지역을 넘어 지방 대도시 및 공공기관 이전이 진행되는 거점지역까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지방소멸위험지수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바탕으로 한 지역의 20~39세 여성 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수로 나눈 값이다. 보고서는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이라고 정의했다. 가임 여성 인구 수가 고령자 수의 절반이 안 되는 지역은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 탓에 특별한 반전의 계기가 없으면 지역이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전국 3463개 읍면동 가운데 사라질 수 있는 소멸위험에 처한 지역 수도 2013년 1229개(35.5%)에서 2018년 1503개(43.4%)로 5년 사이 274개(7.9%포인트) 늘었다.
이 연구위원이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인구이동을 분석한 결과 소멸위험이 있는 읍면동에서 26만2000명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연령별로 20대가 17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10만9000명)와 10대 이하(6만3000명)가 뒤따랐다. 30대 이하 순유출 인원이 총 34만2000명에 달한 것이다. 특히 20대의 경우 수도권으로 이동한 비율이 전체 이동의 37.4%를 차지했고, 50대는 소멸위험 지역으로의 순유입 규모가 6만6000명이었다.
귀농, 귀촌 등에 따른 고령자의 인구 유입은 소멸위험 지역의 인구감소 억제에 기여하고 있지만, 인구유출의 흐름을 바꾸진 못하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최근 지방 제조업의 위기로 지역의 산업 기반이 붕괴됐고 지방의 인구유출이 더욱 가속화됐다”며"물리적 인프라 뿐 아니라 교육, 교통, 주거, 문화 등과 관련된 생활양식의 혁신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획기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고용정보원이 매달 펴내는 온라인 고용동향지 '고용동향브리프 7월호'에 발표됐다.
positive100@newsis.com
'C.E.O 경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파원 24시] "쓰레기가 돈" 중국 환경산업 쑥쑥 (0) | 2018.08.13 |
---|---|
자영업은 벼랑끝… 식당·술집 '폐업·해고 이직' 최다 (0) | 2018.08.13 |
대중국 수출이 줄어든 까닭? (0) | 2018.08.13 |
빨라지는 지구온난화…"'온실'효과 그 이상의 것이 온다" (0) | 2018.08.12 |
내년 국가채무 740조 '돌파'…국민 1인당 나라빚 1429만원 (0) | 2018.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