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에 36층짜리 난방비 반값 아파트 등장···비결은 '못난이'

2019. 7. 3. 18:47건축 정보 자료실

송도에 36층짜리 난방비 반값 아파트 등장···비결은 '못난이'

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
지난달 28일 입주를 시작한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의 전경. 국내 최초의 고층형 제로에너지 아파트다. [사진 현대건설]

지난달 28일 입주를 시작한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의 전경. 국내 최초의 고층형 제로에너지 아파트다. [사진 현대건설]

인천 연수구 송도동 송도국제신도시에 전기세와 난방비가 반값인 아파트가 들어섰다. 지난달 28일부터 입주가 한창인 이 단지는 ‘국내 최초’라는 수식어 2개를 달고 태어났다.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 준공
제로 에너지 건축 5등급
태양광 패널을 디자인화
비싼 시공비 인하가 관건

국내 최초의 고층형 '제로(0) 에너지' 아파트다. 국토교통부와 현대건설이 2015년 시범사업으로 추진해 완공했다. 대규모 민간 분양에 성공한 첫 사례이기도 하다. 최고 36층, 총 886가구의 보금자리가 될 이 아파트는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다.   
  
겉모습은 일반 아파트와 다를 바 없다. 그런데 이 아파트의 에너지자립률 23.37%로, 제로 에너지건축 5등급을 달성했다. 에너지자립률 100%가 1등급이다. 국토부는 인천 시내 아파트의 평균 사용량 대비 아파트의 전기료는 약 50%, 난방비는 약 40% 저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7층 규모의 제로 에너지 공동주택인 서울 노원구의 '이지 하우스'.  [중앙포토]

7층 규모의 제로 에너지 공동주택인 서울 노원구의 '이지 하우스'. [중앙포토]

국내 최초의 제로 에너지 아파트는 2017년 서울 노원구에 들어선 ‘이지 하우스(EZ House)’다. 최고 7층 121가구가 사는 저층 공공임대주택이다. 국토부와 서울시·노원구·명지대가 총 442억원의 사업비를 공동 투자해 건설했다. 송두삼 성균관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의 경우 실험실 레벨에서 벗어나 대규모 민간 분양에 성공한 사례로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는 고층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를 풀었다. 김태오 국토부 녹색건축과장은 “가구 수가 많은 고층 아파트일수록 건물 옥상에 설치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이 한정적이어서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의 경우 옥상뿐 아니라 아파트 입면에도 태양광 패널을 부착했다. 그런데 송도신도시의 경우 아파트 인허가 시 경관심의를 한다. 태양광 패널은 혐오감을 주는 못생긴 자재로 종종 꼽힌다.     
  
이정철 현대건설 R&D센터디지털건설팀장은 “태양광 패널을 입면 디자인 요소로 활용한 안을 여러 개 만들어 경관 심의를 두 차례 받은 끝에 통과했다”며 “태양광 패널을 통해 만들어지는 전기로 아파트 공용공간의 전기 사용량은 다 감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의 전경.[사진 국토부]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의 전경.[사진 국토부]

공간의 기밀성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 접합부의 틈새 관리를 꼼꼼히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정철 디지털건설팀장은 “일반 아파트의 경우 시간당 환기율(ACH50)이 3회라면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의 경우 1.3~1.7회로 줄였다”고 말했다.     
  
또 “자체 개발한 자동 운전 알고리즘을 적용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면서 에너지를 최적으로 쓸 수 있게 했다”며 “입주자들이 신경 안 써도 에너지가 절감되도록 건물이 스스로 운전하는 것을 궁극의 경지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제로 에너지 건축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가야 할 길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건물 부분 온실가스 배출량(2016년 1억5000만여톤)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20%에 달해서다. 국토부는 2025년부터 민간 건축물(30가구 이상 공동주택 또는 연면적 1000㎡ 이상)도 제로 에너지 빌딩으로 짓도록 의무화할 방침이다.   
  
문제는 제로 에너지 건축물의 시공비다. 국토부는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의 사업성을 위해 취득세 15% 감면, 용적률 5% 완화 등의 인센티브를 줬다.  
         
송두삼 교수는 “단열 및 기능성이 좋으면서 가격 경쟁력이 있는 국산 제품이 만들어져야 하는데, 건자재 업체는 국내 시장 규모가 작아서 개발 및 생산이 어렵다고 한다”며 “정부에서 기술력 있는 회사들을 육성하고 시장에서 자리 잡을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은화 기자 onhwa@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송도에 36층짜리 난방비 반값 아파트 등장···비결은 '못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