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수 줄어드는데 정부·여당 내년 '초슈퍼예산' 추진
민간 투자·소비 더 위축시킬 '재정주도 성장'은 곤란
돈 안 들이고도 경제 활력 되살릴 정책 총동원해야
민간 투자·소비 더 위축시킬 '재정주도 성장'은 곤란
돈 안 들이고도 경제 활력 되살릴 정책 총동원해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 여당의 ‘재정중독’은 심각한 수준이다. 문재인 정부는 2017년 5월 출범하자마자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한 이후 매년 재정 확대와 추경편성을 반복하고 있다. 예산이 300조원에서 400조원으로 늘어나는 데 6년 걸렸는데, 이 정부는 집권 3년 만에 100조원 이상 늘리겠다고 한다. 확장적 재정의 결과가 어땠는지 꼼꼼히 따져봤다면 늘리자고만 하지는 못할 것이다.
정부가 온갖 명목으로 재정 지출을 늘려왔지만, 제대로 된 성과를 낸 것은 찾아보기 어렵다. 투자와 수출, 소비가 지속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경기는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과도한 정부지출 확대가 민간의 투자·소비를 위축시키는 ‘구축효과’를 낳았다. 상반기 설비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8.8% 줄었다. 그나마 경제를 지탱하던 수출은 8개월 연속 마이너스다. 기업 수익은 줄어들고 있다. 여기에다 미·중 무역갈등 및 일본의 수출규제 등 대외 경제여건 악화로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상태다. ‘내우외환(內憂外患)’에 성장률 1%대 추락을 걱정해야 할 판이다. 당정이 확장적 재정을 추진하는 것은 내년에도 경기가 심상치 않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하지만 상반기에 세금이 작년보다 1조원 덜 걷히는 등 ‘세수 호황’은 막을 내리고 있다. 내년 세입 여건도 녹록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 씀씀이만 늘어나면 재정 건전성은 크게 악화될 수밖에 없다. 재정을 안 쓰고도 경제 활력을 높일 방법이 없는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다.
“오늘의 부채는 내일의 세금이다.” 국정을 책임진 사람들이 새겨야 할 사실이다. 세금이 덜 걷히면 정부는 국채를 발행해 돈을 끌어다 써야 한다. 미래 세대에 이자까지 붙여 세금을 물리는 무책임한 일이다. 나라 곳간을 헐어 경기를 부양하는 정책은 지속가능하지 않다. 기업이 투자를 늘려야 경제에 활기가 돌고 양질의 일자리가 생길 수 있다. 재정 확대에 앞서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는 구조개혁과 수도권 입지규제 완화 등을 통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게 급선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