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2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상황 점검차 국립중앙의료원을 방문했다. 두번째 확진자가 치료를 받고 있는 곳이다. 최근 정부는 국립중앙의료원 기능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진료 중심으로 전환할 방침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센터에 도착해 세정제로 손을 소독했다. 마스크를 착용하고 곧장 대면 보고에 착수했다. 김연재 국립중앙의료원 중앙감염병 병원운영지원팀장이 병원 건물 앞 텐트에서 상황 보고를 맡았다.

다만 흔히 대통령이 현장 업무 보고를 받을 때 관련자들과 악수를 나누는 관례는 없었다. 문 대통령은 “악수는 생략하겠다”며 이 과정을 건너뛰고 곧바로 실무에 들어갔다. 감염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국민 공포감이 짙어지는 상황에서 정부의 철저한 대응 의지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정부 차원에서는 선제적 조치들이 조금 과하다는 평가가 있을 정도로 강력하게 발 빠르게 시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의심환자 선별진료소 대기실과 두번째 확진자가 입원 중인 감압병동 등을 둘러보기도 했다.

문 대통령과 2015년 당시 박근혜 정부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현장점검의 풍경은 달랐다. 당시 서울대학교 격리병동을 방문해 환자 진료현황을 점검하고 의료진을 격려했다. 박 전 대통령은 의료진 한 명 한 명과 악수를 나눴고 마스크는 착용하지 않았다. 의료진도 마찬가지였다.

박 전 대통령은 격리병실 내 환자들의 상태를 모니터를 통해 살펴보고 또 병실 내에서 방호복을 입고 환자 치료를 하고 있는 간호사와 전화통화도 하면서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이 모습 뒤쪽에는 A4 용지에 ‘살려야 한다’는 문구가 쓰여있어 관심을 모았다. 그는 “마음에서 절실하게 우러나온 구호인 것 같다”고 말했다.

박 전 대통령의 모습 뒤에 이같은 문구가 선명하게 노출되자 일각에서는 “연출한 장면이 아니냐”는 의혹이 생겼다. 병원 측은 “메르스 환자들이 입원할 때부터 의료진들이 자발적으로 붙인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이 문구는 박 전 대통령 방문 직전 청와대 관계자들이 병원을 둘러보는 과정에서 붙여진 것으로 확인됐다. 병원 한 곳에서 해당 문구를 본 후 여러 장 복사해 간호사실 곳곳에 배치했다는 것이다. 이같은 사실이 전해지자 병원 측은 “청와대의 직접적인 지시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병원의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