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어제와 달라진 韓, 국제사회 ‘뉴노멀’된다

2020. 5. 5. 22:29C.E.O 경영 자료

[포스트 코로나] 어제와 달라진 韓, 국제사회 ‘뉴노멀’된다

무관중 KBO리그 세계서 주목

한국의 위상 'K방역'으로 진화

언택트 기반 새로운 산업 모색

국가 간 연대·협력 균열 조짐

美中무역전쟁 2라운드 예고도

"결국, 신뢰가 강대국 결정할 것"

이준기 기자

입력: 2020-05-05 19:35

무관중 프로야구 "플레이볼"

5일 경기도 수원케이티위즈파크에서 열린 2020 KBO리그 프로야구 롯데 자이언츠와 kt wiz의 경기가 무관중으로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관중은 단 한 명도 없었다. 하지만 전 세계 언론이 주목을 했다. 한국프로야구(KBO)를 생중계하게 된 미국 스포츠전문매체 ESPN의 베테랑 캐스터 칼 래비치(55)는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KBO리그를 중계할 수 있어 굉장히 흥분된다"고 말했다.

프로야구 KBO리그 2020시즌이 5일 이렇게 개막했다. 관중석이 텅 빈 서울 잠실구장과 인천 SK 행복드림구장 등 수도권 구장엔 십 수 명의 외신 기자들이 개막전 준비 상황과 경기 진행 모습을 세계 각국에 전달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의 모든 것이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의 일거수일투족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세계의 '뉴노멀'이 되고 있는 것이다.

본래 '거센 바람이 불어야 질긴 풀이 어느 것인지 알 수 있다' 했다. 코로나 19가 불어온 위기 속에 'K 방역'의 우수성이 빛난 덕이다.

이날은 코로나 19 사태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출범한 지 100일째가 되는 날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날 "국민이 필요한 곳에 항상 여러분(중대본)이 있었다"며 "대통령으로서 든든하고 고맙다"고 했다.

일상 복귀를 앞두고 국내 경제계는 물론 각계각층에서 이 같은 위기 속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포스트 코로나'를 넘어 '비욘드 코로나'를 대비해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명자 전 한국과총 회장은 5일 "코로나19 이후 세계질서가 어떻게 바뀔 것이고,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가 어떻게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갈 것인가에 대한 성찰과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중세 유럽의 페스트, 대항해시대 천연두, 1차 세계대전의 스페인 독감 등 과거를 돌이켜 볼 때 코로나19 를 계기로 인류 문명과 역사는 이전에 경험해 보지 못한 '뉴 노멀' 시대로 진입할 것이기 때문에 신뢰 받는 정부 리더십 확보와 국가 경영의 과학화 등에 기반 한 새로운 국가혁신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코로나 19의 변화는 복잡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20세기 이후 형성된 신자유주의와 다자주의에 기반 한 세계경제 질서의 구조적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각국의 탈글로벌화 조짐도 보이고 국가 간 연대와 협력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당장 미중 코로나 갈등으로 미중 무역전 제 2라운드가 예고되고 있다.

이신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지난달 28일 한국과총이 개최한 온라인 포럼에서 "코로나19 이후 국가의 위상과 역할이 지금의 '하드파워'에서 '소프트 파워'로 옮겨져 작지만 믿음직스러운 국가가 국민과 세계의 신뢰를 통해 강대국이 될 것"이라며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부 장관이 '자유질서가 가고, 과거의 성곽시대가 다시 도래할 수 있다'고 주장한 것처럼 G2 국가인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상호 의존적인 국제 질서를 끊어내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국가 간 협력과 연대 악화를 우려했다.

하지만 항상 기회는 변화 속에 있다. 특히 IT에 강한 우리의 경우 코로나 19로 주목되는 언택트 소비 등에서 이미 국제적 우위의 위치에 서 있다.

'플랫폼 경제'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주목받고 비대면(언택트) 기반의 새로운 서비스 등장도 확대돼 원격 교육과 화상 회의, 스마트 오피스, 온라인 공연·스포츠·영화 관람 등을 위한 IT 솔루션과 문화예술 콘텐츠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했다.바로 우리 경제의 '업스윙'(급격한 회복)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또 전문가들은 보건의료 분야에서 그동안 시범사업 조차 하지 못했던 원격의료 시행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질 것이라며 이에 원격의료와 의료비 절감 및 다양한 의료서비스 정착을 위한 규제 혁신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