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10. 15. 18:34ㆍ부동산 정보 자료실
도심 재창조는 세계적인 현상인가?
세계가 국경을 넘어 도시 간 지역 간 경쟁터로 바뀌면서 도시의 역사와 문화, 정체성을 간직하고 있는 도심(구 중심가)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도시들은 지금까지의 철거 후 재개발 방식이 도심 공동화를 부채질한다는 경험을 바탕으로 도심에 산재한 역사적 요소들을 복원하고 낡은 유산을 문화창조의 공간으로 되살려 도심 재창조의 기폭제로 만드는 데 총력을 쏟고 있다.
◆늦었지만 여건은 좋다=대구의 경우 최근 발표된 장기발전계획 수정안의 5대 대형 프로젝트에 도심 재창조가 포함되고 올해 말쯤 도심 재창조 사업 기본계획이 나오는 등 출발이 많이 늦었다. 이 때문에 전 세계적 조류에 동참하고 대구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선 강력한 드라이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매일신문 도심재창조 기획물 자문위원인 하정화 미학박사는 "대구는 다른 도시들과 비교하면 역사와 전통, 문화가 녹아있는 도심이 거의 온전한 형태로 보존돼 있는 강점을 갖고 있다"며 "개발하고 보전할 것을 가리고, 인간과 문화의 결합을 추구하면서 도심 재창조에 속도를 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미국 뉴욕은 비싼 임대료와 테러에 대한 공포 확산으로 도시 경제가 쇠퇴 조짐을 보이자 2002년 ‘창의뉴욕’ 건설을 선언했다. 예술인에게 창작공간과 세금혜택을 주고, 보행과 자전거 중심의 도시 환경을 조성했다. 그 결과 뉴욕은 연간 4천600만명의 관광객이 찾아오고 200억달러 이상의 경제효과를 만들어내는 최고의 창조도시로 거듭났다. 중국 베이징은 2006~2010년 사이에 아시아 최대의 예술촌을 조성한다는 계획 아래 다산쯔, 시장샨 등 문화창조산업개발 5대 특구, 9개의 예술촌을 만들어 중국 현대미술의 수준을 크게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른 도시들의 대담한 프로젝트=세계 도시들의 성공 사례는 국내 도시들의 변화도 빠르게 이끌어내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6월 도심재창조 프로젝트를 확정한 뒤 도심을 광화문, 인사동, 세운상가, 동대문운동장 등을 중심으로 하는 남북 4대축으로 나누어 정비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청계천을 복원해 시민들에게 돌려준 서울시는 이번에 세종로를 16차로에서 10차로로 줄여 도로 한가운데에 폭 34m, 길이 740m 규모의 광화문광장을 만들고, 세운상가~퇴계로 1㎞ 구간에 폭 90m의 녹지축을 조성하는 등 도심의 얼굴을 확 바꿀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부산, 인천 등의 도시들도 근대 산업유산을 문화공간으로 리모델링하고 운동장과 병원을 재개발하는 등 다양한 도심 재창조 사업에 시동을 건 상태다.
대구에서는 근대역사길 복원, 동성로 공공디자인, KT&G 문화창조발전소 조성 등 부분적인 사업들이 올 들어 가시화되는 가운데 도심 재창조를 위한 밑그림 그리기 작업도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대구시는 장기발전계획 수정안에 ‘개성과 활력 있는 매력적 도심공간 재창조’를 대형 프로젝트로 포함시키고 경상감영 객사 복원과 주변지역 개발, 근대 역사문화벨트 조성, 특색 있는 스트리트 퍼니처(거리에 설치한 매점, 버스정류장 등의 공공 건조물) 강화, 시장 상가 활성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올해 말 확정될 도심 재창조 사업 기본계획에서는 중앙네거리를 중심으로 문화관광지구-쇼핑복합지구-엔터테인먼트복합지구-역사전통지구(북서쪽에서 시계방향으로) 등으로 구분해 특성화하되 지구별 연계를 통해 도심 전체의 활성화를 꾀하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경북대 이장우 경영학과 교수는 “세계 도시들과 경쟁하기 위해선 도심에서 어떤 콘텐츠들을 부각시켜 어떻게 대구만의 스토리와 브랜드를 만들지에 대한 고민이 시급하다”며 “사업들을 하나씩 실현하는 과정을 통해 시민들에게 자신감을 주고 대구 전체를 살릴 수 있는 도심 재창조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경기자 kjk@msnet.co.kr 서상현기자 ssang@msnet.co.kr
'부동산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너스 프리미엄 (0) | 2008.10.18 |
---|---|
부동산 매도전략 (0) | 2008.10.16 |
땅!테크 (0) | 2008.10.15 |
인천집값 서울의 4배 상승 (0) | 2008.10.15 |
토지 공부하기... (0) | 2008.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