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자금 마련 가능 방법

2009. 5. 28. 09:11생활의 지혜

 

과연 얼마 정도의 노후자금이 있어야 풍족한 노후를 준비할 수 있을까?

[아이엠리치]필자가 고객과의 재정상담을 하다 보면 대부분은 막연하게 “노후자금이야 많으면 좋지”라는 생각만 가지고 있지 실천하지 못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다. 물론 돈이야 많으면 좋은 것이므로 능력이 되는 만큼 막연하게 나마 돈을 모으는 것도 방법이다.

하지만 일하는 동안 열심히 모아서 은퇴를 하고자 했는데 자녀의 교육자금와 결혼자금 등으로 대부분의 돈이 술술 빠져나가고 정작 은퇴에 임박해서는 풍족한 노후생활은 커녕 딸랑 아파트 한 채와 생계를 유지할 정도의 돈만 남아있다고 하면, 은퇴 후 남은 20년 이상의 제2의 인생은 살기 위해서 노후를 보내는 것이지 즐기기 위한 삶은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과연 얼마를 모을 수 있으며 얼마나 모아야 할까?라는 물음이 자연스럽게 나오게 된다.

현재의 기준에서 노후자금이 얼마가 필요한지 알려고 하면 외국의 투자금융기관인 JP모건의 자사 고객을 대상으로 분석한 “행복한 은퇴”라는 노후 필요 자금 계산법을 한번 사용하여 노후에 얼마의 돈이 필요한지 알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행복한 은퇴 = 현재의 연소득 × [55(현재의 나이 / 3) - 은퇴 예상 나이 / 7]

 

이 식에 의해 노후자금으로 20년 후에 12억원을 만들고자 한다면 다른 변수는 고려하지 않고 물가상승률만 4.0%를 가정한다면 현재의 돈으로는 약 5 3,000만원의 화폐가치를 보일 것이다. 이는 지금부터 시작하여 20년 후까지 매월 약 230만원을 10%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곳에 투자를 하거나 5%의 이자만으로 안전하게 만들고자 하면 매월 약 310만원을 저축 해야 만들 수 있는 자금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샐러리맨이 결혼자금, 교육자금, 생활비를 제외하고 10%의 수익을 기대하며 매달 230만원을 순수 노후자금으로 모으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은퇴전 까지 20년간 최소한의 자녀의 교육자금, 결혼자금을 만들면서 부부의 풍족한 노후자금 등을 만들고자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고 가슴 한쪽이 답답해지는 것이다.

과연 한국사람 중에 몇 명이나 과다한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생활비를 쓰면서 풍족한 노후자금을 위하여 매월 저축이나 투자할 수 있단 말인가!.

 

하지만 30세인경우는 수입의 30%30년 간 투자해서 은퇴 후 30년을 준비해야 한다는 20:30:30법칙으로 40세인 경우는 30:20:30법칙으로 장기투자를 하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예로 설명하면 40세인 경우 30:20:30법칙이란 월소득의 30%를 노후자금으로 생각하고 20년 동안 꾸준하게 저축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급여생활자가 매월 급여의 30%를 노후상품만을 준비하며 노후준비를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월급여의 30%를 노후자금이라고 돈에 꼬리표를 달아 놓고 15%는 노후대비 장기상품인 연금보험이나 변액보험으로 대비하고 나머지 15%는 적금이나 적립식펀드로 만들어 가야 한다. 이렇게 20년 동안 투자한 연금보험 등은 국민연금 등을 포함하여 은퇴이후 30년이상을 안정적으로 해줄 것이고 나머지 금리상품과 금융투자상품에 적립한 돈은 매월 안정적인 이자소득을 가져다 줄 것이고 부동산 등의 자산까지 더 한다면 품위 있는 노후는 가능할 것이다.

수익률 8% 20~30년 동안 투자할 수 있는 금융상품은 그리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만약 연금비중을 높이고자 한다면 현금유동성을 감안하여 월 불입금을 늘리기 보다는 처음부터 연금상품을 추가납이 가능한 상품으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료재무상담( http://blog.naver.com/bebest79)

 
[김석한님의 최근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