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6. 7. 22:17ㆍ부동산 정보 자료실
미국 통화정책의 초점이 인플레이션 견제 쪽으로 옮겨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11일 개최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 재정의 조기집행과 28조4000억원에 달하는 추가경정예산, 한은의 통화완화기조 등 한국의 유동성 공급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미국과 별반 다르지 않아 일부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통위는 국내외의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6월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2%에서 4개월째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대부분이다.
경기회복의 수준이 미약해 ‘기준금리 2%’라는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그대로 이어갈 것이란 예상이다.
황태연 동양종금증권 연구원은 “국제유가가 상승하고 일부 지역 주택가격이 오르면서 인플레이션 견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통화정책기조에 변화를 주기는 어렵다”며 “재정확대, 통화완화를 지속했지만 경기가 계속 횡보하고 있어 저금리 기조 유지 외에는 경우의 수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세가 동향도 주의깊게 살펴봐야 한다. 서울 강남권은 물론 강북권 등에서도 전세가격이 꾸준히 오르고 있다. 전세시장은 철저히 수급사정에 따라 좌우되기 대문에 부동산 시장의 향배를 점칠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된다. 장마철을 앞두고 비수기에 접어들어 오름세는 다소 누그러질 가능성도 있다.
■정책 핫이슈
이번 주에는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이 발표된다. 4대강 정비는 강 정비뿐 아니라 지역개발사업도 연계돼 있기 대문에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클 전망이다. 정부는 이번 마스터플랜에서 4대강 정비사업의 사업비를 당초 13조원대에서 18조원대로 30% 이상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생태하천도 총연장을 당초 760㎞에서 870㎞로, 자전거길은 1411㎞에서 1713㎞ 등으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서울의 경우 한강에 2조30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돼 각종 사업이 펼쳐진다. 한강 주변이 정비되면 인근 부동산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대심도 지하 급행철도 사업타당성 조사도 본격화된다. 국토부는 경기도가 건의한 수도권 대심도 급행철도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해 관련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오는 10월 수도권에 ‘교통혁명’을 몰고 올 대심도 전철의 용역 결과가 나오면 올해 안에 광역철도기본계획에 반영, 대심도 전철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경제성 분석에 들어가는 대심도 철도노선은 경기도가 제안한 3개 노선이다. 국토부는 이들 3개 노선을 토대로 대심도 철도 건설의 타당성을 평가한 뒤 내년에 민간 사업자들의 제안한 노선과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과 삼성중공업 컨소시엄은 각각 4개와 2개의 대심도 철도노선을 민간사업으로 제안했지만 경기도가 제안한 노선과 유사하고 사업비가 많이 소요돼 민자사업으로 추진될 공산이 크다. 정부의 계획대로 대심도 철도가 놓이면 인근 부동산 시장은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특히 시범노선으로 유력한 고양 일산∼강남∼동탄 간 노선이 정해지면 경기 일산과 용인 일대 주택시장에 큰 후광효과가 기대된다.
임시국회 개회와 부동산 관련 법안 처리 동향에도 관심을 둬야 한다. 한나라당이 개최시기를 앞당기려고 노력 중인 가운데 이번 임시국회에서 민간택지아파트와 경제자유구역 내 아파트에 대한 분양가 상한제 동시 폐지를 추진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임시국회에서 이 개정안이 통과되면 7월부터 분양가 상한 규제가 사라진다.
/victoria@fnnews.com 이경호 박일한기자
'부동산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에 '반값 할인' 아파트 등장 (0) | 2009.06.09 |
---|---|
서울 전세값, 지방 보다 4배 비싸다 (0) | 2009.06.08 |
부동산 거래세 50% 감면 연장된다 (0) | 2009.06.07 |
수도권 미분양 할인경쟁 (0) | 2009.06.07 |
주택 자산관리 (0) | 2009.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