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 쓰러지는 사람·건물 … 비명에 덮인 도시

2010. 1. 14. 08:24지구촌 소식

아이티, 쓰러지는 사람·건물 … 비명에 덮인 도시
[중앙일보] 2010년 01월 14일(목) 오전 02:56   
[중앙일보 최익재.이충형]
“지진이 발생하자 길 가던 사람들이 곳곳에서 쓰러졌으며 건물들이 잇따라 무너지기 시작했다. 곧 길거리는 살려 달라는 시민들의 비명으로 아수라장이 됐다. 나는 운전 중이었는데 지진의 충격으로 주변 차량들과 충돌하는 바람에 운전을 계속할 수 없었다.”

카리브해 섬나라 아이티의 수도 포르토프랭스에 거주하는 카렐 페드레는 12일 오후(현지시간) 강진이 발생한 직후 CNN과의 인터뷰에서 현지 상황을 이렇게 전했다. 아이티에 파견된 미 정부 관계자는 “하늘이 먼지로 꽉 차 회색 빛을 띠고 있다. 모든 사람이 제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공포에 떨고 있다”고 말했다.

AP통신 등 주요 외신은 13일 지진이 강타한 포르토프랭스 시내의 주요 건물이 대거 붕괴돼 최대 수천 명이 매몰되는 등 인명피해가 우려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프랑스의 알랭 주아양데 협력담당 국무장관은 “포르토프랭스의 몬타나 호텔이 무너져 투숙객 300여 명 중 약 200명이 실종됐다”고 말했다.

대통령궁 등 건물 붕괴로 수천 명 매몰=외신들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대통령궁을 비롯해 의회 의사당과 병원·호텔·가옥 등 상당수 건물이 무너졌으며 대부분 지역의 통신이 두절되고 도로가 끊겼다. 이번 지진은 1770년 아이티에서 발생한 지진 이후 최대 규모다. 아직 정확한 피해 규모가 집계되지 않았지만 인명 피해가 수천 명에 달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아이티 정부는 “지진으로 대통령궁이 큰 피해를 보았지만 대통령은 현재 무사하다”고 밝혔다. 이곳에 있던 유엔 평화유지군 건물도 무너져 중국·요르단 출신 등 최소 11명이 숨졌고 브라질 군 4명도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지진으로 인해 아이티의 국가 기능은 거의 마비됐다. 일부 주민은 상점을 약탈하는 등 지진 피해지역이 무법천지로 변하고 있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외신들은 또 구조 및 피해 복구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피해가 커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규모 5.9와 5.5 등의 여진이 잇따라 피해를 키웠다. 이번 지진은 인근 도미니카공화국과 쿠바의 주민들도 느낄 정도로 충격이 컸다.

한국인 4명 묵던 호텔도 붕괴=외교통상부는 업무차 아이티를 방문했던 한국인 4명이 묵고 있던 호텔이 붕괴돼 현재 생사 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유엔평화유지군으로 현지에 파견된 이선희 소령을 비롯해 교민 63명은 무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현지에서 개인사업을 하는 교민 3명은 아직까지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 아이티를 관할하고 있는 도미니카공화국 주재 한국 대사관은 “지진 발생 직후 교민들의 안전 여부를 파악하고 있지만 통신 두절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등 국제사회 긴급지원=미 국제개발청(USAID)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이날 구조요원 72명을 비롯해 인명구조를 위한 탐색견 6마리와 함께 48t 규모의 구조장비를 현지에 급파했다. 유럽연합(EU)은 300만 유로(약 50억원)를 긴급 지원키로 결정했고 프랑스·독일 등도 자체 구호팀을 꾸리겠다고 밝혔다. 콜롬비아·베네수엘라·파나마·멕시코·파라과이 등 중남미 국가들도 아이티에 구호물자 지원을 약속했다.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고통받고 있는 형제자매를 위해 국제사회 모두가 합심해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익재·이충형 기자

◆아이티=카리브해에서 쿠바·도미니카공화국에 이어 셋째로 큰 섬나라다. 주민 대부분이 아프리카에서 강제 이주된 흑인 노예들의 후손이다. 1804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1915~34년 미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이후 독재와 부패, 군사 쿠데타로 혼란이 계속됐다. 유엔 평화유지군이 2004년부터 주둔해 있다. 미주 국가 중 최빈국으로 문맹률이 45%나 된다.

▶ 면적:2만7751㎢(남한의 약 4분의 1)

▶ 인구:1000만 명 ▶ 수도:포르토프랭스

▶ 1인당 명목 GDP:790달러(2008년)

▶ 정치형태:대통령제 공화국

▶ 언어:프랑스어, 아이티 크레올레어(공용)

▶최익재 기자의 블로그 http://blog.joins.com/ijch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