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부도… 건설업계 '5월 위기설' 현실로?
2010. 5. 13. 08:42ㆍ이슈 뉴스스크랩
또 부도… 건설업계 '5월 위기설' 현실로?
풍성주택 최종 부도에 업계 '촉각'… 업계 특단대책 요구에 정부 냉랭한 반응
- 머니투데이 장시복 기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 입력 : 2010.05.12 15:09
지난 11일 주택전문 건설업체인 풍성주택이 최종 부도 처리되면서 건설업계에 '5월 위기설'이 현실화 되는 게 아니냐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풍성주택은 지난 11일까지 우리은행 동수원지점에 돌아온 상거래 어음 11억8400만원을 막지 못해 최종 부도 처리됐다.
이는 최근 경기 화성 능동 사업장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이자 비용이 쌓인데다 동탄신도시에서 지은 주상복합 아파트 입주 지연에 따른 잔금 미회수로 인해 자금 압박이 가중되면서 벌어진 결과다. 이 업체는 시공순위 158위로 규모가 크진 않지만 중견 건설사들의 연쇄 부도를 촉발하는 발화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올들어서도 시공순위 54위의 중견건설사 성원건설뿐 아니라 호남지역에서 시공능력 2,3위였던 남양건설과 금광기업이 잇따라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가고 대우자동차판매가 최종 부도 단계까지 접어들면서 위기감은 고조됐다.
특히 건설업계에선 '5월이 고비'라는 얘기가 돌아 긴장의 고삐를 늦추지 못한 상태다. '악성'인 준공후 미분양 물량이 계속 늘고 있는데다 5월에는 3만가구가 넘는 신규 입주물량이 대거 몰려 있어 미입주 사태에 따른 자금부담이 최고조에 달 할 수 있다는 게 위기설의 근거다.
여기에 건설사에 대한 정기 신용등급평가가 시작되면 무더기 퇴출을 당할 수 있다는 위기감도 도사리고 있다. 특히 건설사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 46조원 가운데 53%인 24조원이 향후 1년 내에 만기가 돌아온다는 점도 큰 걱정거리다. 증권가에선 위기에 처한 10여개 업체의 '블랙리스트'가 담긴 정보지가 나돌고 있기도 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최근 보고서를 통해 "건설업종의 실질 부채비율은 500%에 달하며 따라서 구조조정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KDI에 따르면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건설사들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부실위험이 높은 건설사는 2002년 외부감사 대상 건설사의 7.1%인 79개사에서 2008년 13%인 232개사로 급증했다.
앞서 김중겸 한국주택협회 회장(현대건설 사장)은 지난달 기자들과 만나 "주택만 주로 하는 건설사들은 하루하루 끼니를 연명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며 "5~6월쯤이면 무너지는 (중견)건설사가 여럿 나타날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낸 바 있다.
상황이 이렇자 건설업계는 특단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도 냉랭한 입장이어서 기대하긴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달 미분양 대책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무분별한 투자로 미분양을 양산한 건설업자의 책임도 적지 않다"며 "업체의 자구노력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토해양부 정종환 장관도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5월 위기설'과 관련해 "일단 여러 상황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문제가 있는 업체들은 구조조정 등을 강력히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경한 입장을 드러냈다.
따라서 일각에선 이달에 위기를 넘기더라도 6·2지방선거 이후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이 본격 추진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풍성주택은 지난 11일까지 우리은행 동수원지점에 돌아온 상거래 어음 11억8400만원을 막지 못해 최종 부도 처리됐다.
이는 최근 경기 화성 능동 사업장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이자 비용이 쌓인데다 동탄신도시에서 지은 주상복합 아파트 입주 지연에 따른 잔금 미회수로 인해 자금 압박이 가중되면서 벌어진 결과다. 이 업체는 시공순위 158위로 규모가 크진 않지만 중견 건설사들의 연쇄 부도를 촉발하는 발화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올들어서도 시공순위 54위의 중견건설사 성원건설뿐 아니라 호남지역에서 시공능력 2,3위였던 남양건설과 금광기업이 잇따라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가고 대우자동차판매가 최종 부도 단계까지 접어들면서 위기감은 고조됐다.
특히 건설업계에선 '5월이 고비'라는 얘기가 돌아 긴장의 고삐를 늦추지 못한 상태다. '악성'인 준공후 미분양 물량이 계속 늘고 있는데다 5월에는 3만가구가 넘는 신규 입주물량이 대거 몰려 있어 미입주 사태에 따른 자금부담이 최고조에 달 할 수 있다는 게 위기설의 근거다.
여기에 건설사에 대한 정기 신용등급평가가 시작되면 무더기 퇴출을 당할 수 있다는 위기감도 도사리고 있다. 특히 건설사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 46조원 가운데 53%인 24조원이 향후 1년 내에 만기가 돌아온다는 점도 큰 걱정거리다. 증권가에선 위기에 처한 10여개 업체의 '블랙리스트'가 담긴 정보지가 나돌고 있기도 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최근 보고서를 통해 "건설업종의 실질 부채비율은 500%에 달하며 따라서 구조조정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KDI에 따르면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건설사들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부실위험이 높은 건설사는 2002년 외부감사 대상 건설사의 7.1%인 79개사에서 2008년 13%인 232개사로 급증했다.
앞서 김중겸 한국주택협회 회장(현대건설 사장)은 지난달 기자들과 만나 "주택만 주로 하는 건설사들은 하루하루 끼니를 연명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며 "5~6월쯤이면 무너지는 (중견)건설사가 여럿 나타날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낸 바 있다.
상황이 이렇자 건설업계는 특단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도 냉랭한 입장이어서 기대하긴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달 미분양 대책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무분별한 투자로 미분양을 양산한 건설업자의 책임도 적지 않다"며 "업체의 자구노력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토해양부 정종환 장관도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5월 위기설'과 관련해 "일단 여러 상황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문제가 있는 업체들은 구조조정 등을 강력히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경한 입장을 드러냈다.
따라서 일각에선 이달에 위기를 넘기더라도 6·2지방선거 이후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이 본격 추진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슈 뉴스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부실기업 굳이 안살린다 '방향 선회' (0) | 2010.05.14 |
---|---|
中企 "비올 때 우산 뺏어가는 일부 은행에 더이상 못참겠다" (0) | 2010.05.13 |
밤마다 꿈꾼다 “가난한 20대도 주거권 누리길” (0) | 2010.05.11 |
수출기업 31% "환율 마지노선 무너져" (0) | 2010.05.06 |
“종교가 정치에 너무 나서선 안돼” (0) | 2010.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