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7. 20. 08:26ㆍC.E.O 경영 자료
확실하게 목표를 이루는 방법
- 필명 서명희
- 조회 2671 ㅣ 작성일 2010-07-09
[아이엠리치]필자는 사람들의 행복을 연구하는 일을 하고 있다.
언제 행복할까? 모든 것이 만족스러운 상태에 사람들은 행복할까? 필자도 여러 보고서나 책들을 통해서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어떤 때에 가장 행복한지를 물은 결과 자신의 노력으로 무엇인가를 이루었을 때 가장 행복하다고 한다.
성공자들은 확실하게 목표를 이루는 방법을 알고 있고 그렇게 이루어 냈을 때의 기쁨도 맛본 사람들이다. 그리고 끊임없이 더욱 더 노력해서 더 큰 목표들을 이루어 낼 줄 아는 그런 사람들인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따라해서만은 진정한 성공을 이룰 수 없다고 이야기하지만 그렇지 않다. 수학문제의 답은 다 다르지만 공식은 반드시 있는 것처럼 성공도 마찬가지로 성공의 공식은 있다.
확실하게 목표를 이루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확실한 목표를 가져야한다. 가끔은 어디를 가야할지도 모르면서 열심히만 하는 사람들도 있다. 정확한 비전을 찾지 못했다면 가까운 미래의 목표라도 잡아라. 그것도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잡아야 한다. 그렇게 되면 그 목표를 이룰 수 있는 방법들이 저절로 눈에 귀에 들어오게 된다. 갑자기 눈을 감고 빨간색의 물건을 떠올리라고 하면 매우 제한적인 답밖에 안 나온다. 하지만 그 문제를 시간을 주고 찾아보라고 하면 의외로 빨간색물건을 많이 찾을 수 있는 것처럼 목표도 마찬가지이다. 정확한 목표가 있다면 그 목표를 이룰 수 있는 방법이나 그것을 이루게 도와줄 사람들이 많이 나타나게 된다.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천 방법을 찾는 동시에 도와줄 사람도 찾아보도록 한다. 모든 일의 뒤에는 사람이 있다. 신은 사람을 통해서 꿈을 이루어주지만 사람은 자신이 도와주고 싶은 사람을 직접 도와줄 수 있다. 그러니 주변에 도와줄 사람을 찾아보는 것이 자신의 목표를 이루는 지름길을 찾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리고 성공한 많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능력을 돈으로 환산할 줄 안다. 그리고 그 값어치가 있다고 느끼면 투자를 하는데 주저함이 없다. 결국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방법을 찾아서 꾸준히 실천하는 것, 그리고 자신보다 더 일을 잘 할 사람을 찾아서 투자하는 것이 두 번째 방법이다.
그리고 자신이 잘 하고 있는지를 규칙적으로 점검한다. 물론 필자는 그런 노력이 없이도 무의식의 힘으로 목표를 이루는 사람들을 많이 보아 왔다. 하지만 그래도 작은 계획들을 잘 실천하는 것이 목표를 더 잘 그리고 더 확실히 이루기 위한 방법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런데 사람은 누구나 감정의 기복도 있을 수 있고 날마다 다른 상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가끔 점검을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잘 안되고 있다면 더 잘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보아야 한다.
결과를 점검하고 성취한 부분과 실패한 부분을 체크한다. 인생에서 실패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기서 실패를 인정한다. 하지만 성공자들은 바로 다시 시작한다. 혹시 ‘인디안 기우제’라는 것을 아는가? 인디안들은 기우제를지내면 거의 성공을 하게 되는데 그 비결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비가 올 때까지 기우제를 지내는 것이라고 한다. 성공도 마찬가지이다. 성공할 때까지 계속하면 성공하게 된다. 성공자들은 ‘문제는 없고 기회만 있다.
No problems, only opportunities.'고 굳게 믿는다. 그리고 보통사람들이 실패라고 보는 것들도 더 큰 성공의 발판으로만 생각을 한다. 그러니 신들도 그들을 이길 수 없는 것이다.
크고 작은 목표들을 많이 세우고 그것보다 더 큰 것들을 이루어 나감으로써 행복은 성공의 끝에 있는 것이 아니라 노력하는 과정중에 있는 것임을 느껴보기 바란다.
[아이엠리치 서명희 칼럼니스트 / 행복플러스 연구소장]
'C.E.O 경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스도 도요타도 울었다 … 컨슈머리포트의 힘 (0) | 2010.07.21 |
---|---|
2015년 공무원 30% 집에서 일한다 (0) | 2010.07.20 |
인터넷몰 매출액, 백화점 앞질렀다 (0) | 2010.07.20 |
주택연금 3년, 최고 지급액 월 ‘436만원’ (0) | 2010.07.18 |
경제력 있는 은퇴세대…'뉴시니어' 공략하라 (0) | 2010.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