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살아나니 고급 소비재 수입 급증
2010. 11. 7. 11:34ㆍ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경기 살아나니 고급 소비재 수입 급증 | |
기사입력 2010.11.07 08:05:01 | ![]() ![]() ![]() |
백화점 명품 매출도 눈에 띄게 증가
올해 들어 전반적인 경기가 살아나며 고급 소비재 수입이 크게 늘고있다. 경기에 민감한 주요 백화점의 명품 매출도 눈에 띄게 증가, 움츠러들었던 소비 심리가 완연하게 되살아나는 모습이다.
7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골프채와 고급 자동차, 위스키 등 고급 소비재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0~50%대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대표적인 고급 내구재 소비재인 외국산 자동차는 지난해 경기한파의 직격탄을 맞고 수입이 24.5% 감소했지만 올해는 9월까지 51.7%나 늘었다.
9월까지 자동차 수입액만 25억8천5만7천달러로, 지난해 전체 수입액(24억8천959만6천달러)를 이미 넘어섰다.
경기와 직결되는 위스키 수입도 9월까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1%나 증가했다. 지난해의 경우 위스키 수입은 전년 대비 24.8% 감소했다.
골프채 수입도 크게 늘어 9월까지 수입액 2억2천614만달러, 증가율은 29.0%에 달한다.
화장품과 의류 등 고급 기호 제품 수입도 급증했다.
화장품의 경우 9월까지 수입액 7억2천479억1천달러, 수입 증가율 22.0%로 뚜렷한 호조를 보였고, 의류 수입도 24.5%나 늘어났다. 수입액은 무려 29억1천241만7천달러에 달한다.
9월까지 비디오 카메라 수입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5%나 증가했다.
주요 백화점의 명품 매출도 증가 추세다.
지난달 기준 롯데백화점의 해외명품 매출은 동월 대비 24.4% 증가했고, 현대백화점과 신세계 백화점 명품 매출도 각각 21.0%, 25.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경기가 살아나다보니 명품 소비도 증가추세"라며 "지난달의 경우 중국 국경절 연휴까지 겹쳐, 중국인 관광객들의 명품 구매도 매출 증가에 한몫했다"고 설명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지난해 경제위기로 고급 제품 수입이 크게 줄었고, 올해 들어 전반적인 경기지표가 호전되며 소비재 수입도 증가하는 것"이라며 "다만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로 넘어서며 수입 증가율이 다소 완화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올해 들어 전반적인 경기가 살아나며 고급 소비재 수입이 크게 늘고있다. 경기에 민감한 주요 백화점의 명품 매출도 눈에 띄게 증가, 움츠러들었던 소비 심리가 완연하게 되살아나는 모습이다.
7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골프채와 고급 자동차, 위스키 등 고급 소비재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0~50%대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대표적인 고급 내구재 소비재인 외국산 자동차는 지난해 경기한파의 직격탄을 맞고 수입이 24.5% 감소했지만 올해는 9월까지 51.7%나 늘었다.
9월까지 자동차 수입액만 25억8천5만7천달러로, 지난해 전체 수입액(24억8천959만6천달러)를 이미 넘어섰다.
경기와 직결되는 위스키 수입도 9월까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1%나 증가했다. 지난해의 경우 위스키 수입은 전년 대비 24.8% 감소했다.
골프채 수입도 크게 늘어 9월까지 수입액 2억2천614만달러, 증가율은 29.0%에 달한다.
화장품과 의류 등 고급 기호 제품 수입도 급증했다.
화장품의 경우 9월까지 수입액 7억2천479억1천달러, 수입 증가율 22.0%로 뚜렷한 호조를 보였고, 의류 수입도 24.5%나 늘어났다. 수입액은 무려 29억1천241만7천달러에 달한다.
9월까지 비디오 카메라 수입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5%나 증가했다.
주요 백화점의 명품 매출도 증가 추세다.
지난달 기준 롯데백화점의 해외명품 매출은 동월 대비 24.4% 증가했고, 현대백화점과 신세계 백화점 명품 매출도 각각 21.0%, 25.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경기가 살아나다보니 명품 소비도 증가추세"라며 "지난달의 경우 중국 국경절 연휴까지 겹쳐, 중국인 관광객들의 명품 구매도 매출 증가에 한몫했다"고 설명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지난해 경제위기로 고급 제품 수입이 크게 줄었고, 올해 들어 전반적인 경기지표가 호전되며 소비재 수입도 증가하는 것"이라며 "다만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로 넘어서며 수입 증가율이 다소 완화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몇 천원 밀린 통신요금이 신용등급 떨어뜨려"… (0) | 2010.11.08 |
---|---|
가을의 단상 (0) | 2010.11.07 |
2골 작렬 박지성 “믿을 수 없다” 환호 (0) | 2010.11.07 |
현대·기아차, 일본車가 잃은 시장 고스란히 삼켰다 (0) | 2010.11.06 |
‘피치못할 사정’땐 대출이자 감면 (0) | 2010.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