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숙사·하숙비의 4분의1… 등록금 시름 던다

2011. 6. 21. 08:50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기숙사·하숙비의 4분의1… 등록금 시름 던다

서울신문 | 입력 2011.06.21 03:08

 

[서울신문]'반값 등록금' 논란으로 나라 전체가 들썩이는 가운데 비수도권 자치단체들이 향토 출신 서울 유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운영하는 '학숙(학사)'이 새삼 주목을 받고 있다. 이용료는 대학 기숙사나 민간 하숙의 4분의1~3분의1 정도로 저렴하면서도 숙식 서비스가 중급호텔 수준을 뺨치기 때문이다. 몇 년 새 부쩍 오른 서울지역 '대학 물가' 탓에 학숙의 인기가 갈수록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민간 대학의 기숙사 확충보다 자치단체의 학숙에 대한 재정지원을 고려하는 편이 낫다는 지적도 나온다.

20일 자치단체들에 따르면 현재 서울에 학숙을 지어 운영하고 있는 광역시·도는 광주시·전남도와 전북도, 강원도, 충북도, 경기도, 제주도 등 6곳이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남도학숙'을 공동으로 설립했다.

강원도는 1974년 열악한 재정 여건에도 불구하고 195억원을 들여 전국 최초로 관악구에 '강원학사'를 지었다. 나머지 5개 자치단체는 1992년부터 2001년까지 각각 55억~278억원을 들여 260~810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학숙을 마련했다. 제주도의 '탐라영재관'은 190억여원짜리 고급형 학숙이다.

이들 학숙은 쾌적한 기숙사와 식당, 도서실, 상담실, 체력단련실, 세탁실 등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생활에 불편함이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1인당 월 이용료가 하루 3끼 식사를 포함해 11만~15만원이어서 시골에 사는 학부모들의 어깨를 가볍게 한다. 생활지도가 대학내 기숙사만큼 철저해, 마음도 편안하게 한다.

다만 매년 입주 경쟁률이 최고 10대1에 가까운 것이 흠이라면 흠이다. 혜택을 볼 수 있는 학생들이 그만큼 소수라는 말이다. 충북도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장 2학기부터 입주학생 정원을 318명에서 358명으로 40명 증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여름방학 기간에 사업비 7억 6000만원을 들여 17개 실을 추가 확보하는 구조변경공사를 할 계획이다. 아울러 늦어도 2015년까지 450억원 정도를 더 들여 서울에 제2의 '충북학사'를 건립할 계획을 세워 놓았다.

이 때문에 이들 시·도는 학숙이 없는 대구시와 경북도, 부산시, 경남도 등지의 출신 학생과 학부모로부터 부러움을 사고 있다.

인천시와 울산시교육청은 최근 대학 등록금 문제가 불거지자 서울에 학숙을 새로 마련하는 방안을 구체화하고 있다. 인천시는 신림동에 '인천영재관(가칭)'을, 울산시교육청은 2014년까지 총 355억원을 들여 300명 수용 규모의 '울산학사'를 각각 마련한다는 것이다. 경북 영천시와 군위·청송·영양군 등 기초자치단체들은 도 단위의 대형 학숙이 마련되지 않자 자체적으로 소형 학숙을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정원이 10~60여명에 불과하지만 농촌지역 학생과 학부모에게는 그렇게 고마울 수가 없다고 한다.

그러나 재경 대구경북시도민회와 대경육영재단은 2011년까지 총 1000억원을 들여 서울에 1000명 규모의 '대경학숙'을 건립할 예정이지만, 지금까지 모금액이 12억원에 불과할 정도로 지지부진하다. 경남도는 2003년부터 '경남학숙' 설치에 나섰으나 엉뚱한 논란에 빠졌다.

대구·경북지역 주민들은 "시와 도가 학숙 건립에 뒷짐을 지고 있는 사이에 지역 출신의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아울러 각 지역의 일부에서는 "서울에 학숙을 설립하고 예산을 지원한다면 지방에 남아서 대학에 다니는 인재들은 역차별을 받는 꼴이고, 지방대학 육성이라는 취지에도 어긋난다."는 주장이 나온다.

대구 김상화기자·전국종합

s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