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과잉팽창…부실률 他업종의 두배 육박

2012. 11. 5. 07:55이슈 뉴스스크랩

편의점 과잉팽창…부실률 他업종의 두배 육박

본점만 수십배 이익…자영업 점주는 적자 허덕 공정위 "연내 영업거리 제한 등 강력규제" 연합뉴스 | 입력 2012.11.05 04:07 | 수정 2012.11.05 05:50

 

본점만 수십배 이익…자영업 점주는 적자 허덕

공정위 "연내 영업거리 제한 등 강력규제"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기자 = 최대 프랜차이즈업종인 편의점을 운영하는 점주들이 심각한 위기와 맞닥뜨렸다.

본사에서 이익늘리기에만 급급한 나머지 편의점 수를 지나치게 많이 늘려서다. 점포당 매출이 줄면서 적자 점포가 속출하고 `자영업 대란'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5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최대 편의점 체인인 CU(옛 훼미리마트)의 점포당 매출액은 2008년 5억4천389만원에서 지난해 5억원을 갓 넘는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GS25의 점포당 매출액도 2008년 5억6천109만원에서 지난해 5억2천143만원으로 3년새 4천만원이나 줄었다.

세븐일레븐의 점포당 매출액 감소폭은 2년새 무려 5천만원에 달한다. 2008년 5억2천314만원이었던 매출이 5억원도 채 못 되는 수준으로 떨어져 2010년 4억7천67만원를 기록했다.

2009년 5억4천142만원이던 미니스톱의 점포당 매출액도 지난해 5억원 이하로 추락했다.

매출이 줄어든다는 것은 편의점을 운영하는 점주의 이익도 줄어든다는 뜻이다. 각종 비용 부담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줄자 `적자 점포'가 급증하고 있다.

신용보증기금의 분석 결과 전체 편의점 가운데 휴ㆍ폐업하거나 은행에서 빌린 대출의 원금ㆍ이자를 제대로 내지 못하는 부실 편의점 비율이 올해 들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2010년 말 4.6%, 지난해 말 4.8%였던 편의점 부실률은 올해 1분기 말 8.7%, 2분기 말 8.8%, 8월 말 9.5%로 수직상승 중이다.

국내 전체 업종의 부실률은 2010년 말 4.6%, 지난해 말 5.0%에서 올해 8월 말 5.9%로 완만하게 상승 중이지만 유독 편의점만 부실률이 급격히 치솟고 있다.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를 정도로 편의점 수가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2006년 말 9천928개로 1만개에도 미치지 못했던 편의점 수는 2007년 말 1만1천56개, 2009년 1만4천130개로 급증하더니 지난해 말 2만개를 돌파해 2만1천221개에 달했다.

연도별 신규 점포 수는 2009년 1천645개에서 2010년 2천807개, 지난해 4천284개로 매년 2배 가까운 수준으로 늘어났다.

신보 최헌철 산업분석팀장은 "일부 편의점주들이 더 이상 견디기 힘들 정도로 편의점 수가 과잉 팽창한 결과 올해 들어 한계 상황에 이른 편의점들의 부실률이 급격히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편의점주들이 매출 감소에 시달리며 점포 문까지 닫는 한계 상황에 내몰린 반면 편의점 본사는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이익을 즐기고 있다.

CU를 운영하는 비지에프리테일은 2006년 290억원이었던 순이익이 지난해 774억원으로 급증했다.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의 순익도 같은 기간 414억원에서 934억원으로 배 이상 늘었다.

세븐일레븐 브랜드의 코리아세븐은 2006년 10억원이었던 순익이 50배로 늘어 지난해 510억원에 달했다. 한국미니스톱도 같은 기간 순익이 5배가량 늘어 지난해 114억원을 기록했다.

베이버부머의 은퇴로 프랜차이즈 창업시장에 자영업 희망자들이 대거 뛰어드는 상황을 이용해 무차별적으로 점포망 확장에 나선 결과다. 개별 점포의 경영난은 아랑곳하지 않고 본사의 이익에만 급급했다고 할 수 있다.

4대 편의점 프랜차이즈의 순이익은 2006년 총 699억원에서 지난해 2천552억원으로 4배 가까이 늘었다.

편의점의 과잉팽창 문제가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고 보는 공정위는 제도 개선 의지를 다지고 있다.

공정위 관계자는 "편의점 간 영업거리를 제한하는 모범거래기준을 올해 안에 만들어 적용할 계획"이라며 "우월한 지위를 남용해 횡포를 부리는 편의점 본사의 불공정행위도 철저히 단속ㆍ제재하겠다"고 밝혔다.

ss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