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1. 19. 21:42ㆍC.E.O 경영 자료
"中企, 양적성장 이뤘으나 질적인 면에서는…"
| |
매일경제 기사입력 2013.01.19 12:00 |
중소기업중앙회 '2012 중소기업 위상지표' 발표
중소기업은 지난 몇 년 동안 꾸준하게 양적 성장을 이뤘지만 1인당 부가가치 생산성 등 질적인 측면에서는 대기업과 격차가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간한 '2012 중소기업 위상지표'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10년 동안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41만4천527개, 일자리는 358만1천841개가 신설되는 등 양적 성장을 이룩했다.
비율로 살펴보면 사업체는 15.3%, 종사자는 41.3% 증가했다.
반면 대기업은 같은 기간 사업체 수는 85.9%, 종사자는 10.3% 감소했다.
또한 중소 제조업의 총 판매 상황은 2005년 312조 원, 2011년 563조 원 등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처럼 중소기업이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양적 비중은 커졌지만 부가가치 생산성이나 매출액 영업이익률 등 질적인 측면에서는 대기업과 격차가 여전하거나 오히려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성 지표를 나타내는 중소기업의 영업이익률은 2005년 4.25%, 2011년 5.10%로 같은 기간 대기업의 7.16%, 6.13%와 비교하면 여전히 낮았다.
금융비용 부담률(매출액 대비 금융비용)은 중소기업이 2005년 1.70%, 2011년 1.91%로 증가하는 데 반해 대기업은 2005년 1.03%, 2011년 0.89%로 감소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1인당 부가가치 생산성은 대기업의 3분의 1에도 못 미쳤으며 제조업의 1인당 연간 급여액도 대기업의 절반도 안 되는 46.9%(2010년 기준) 수준이었다.
중기중앙회 이창희 조사통계팀장은 "중소기업의 양적 성장과 경제적 위상에도 여전히 남아있는 대·중소기업의 양극화 문제와 경제 3불(不)이 중소기업의 질적 성장을 가로막고 있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중소기업의 '손톱 밑 가시'를 제거하는 것과 함께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로 전환하려면 공정하고 건강한 기업 생태계 조성, 중소기업의 자체 노력,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 3박자가 맞아야 대·중소기업의 균형 있는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E.O 경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허시장에 금융자본이 몰려든다 (0) | 2013.01.20 |
---|---|
세계경제 뒤흔들 ‘10대 티핑 포인트’ 유로존 붕괴·중국 경제 경착륙 등 변수 (0) | 2013.01.19 |
日 돈 무제한 찍어내기 환율전쟁 우려감 확산 (0) | 2013.01.18 |
'메이드인차이나 2.0' 시대 연다 (0) | 2013.01.18 |
고액자산가, 70% 위험상품 투자 (0) | 201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