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도 소득 양극화 심화… OECD-IMF “세계경제 위협”
2013. 5. 17. 21:13ㆍC.E.O 경영 자료
선진국도 소득 양극화 심화… OECD-IMF “세계경제 위협”
■ 금융위기로 복지비용 축소-실업난 가중… 부익부 빈익빈 확대
동아일보 입력 2013.05.17 03:04 수정 2013.05.17 08:
[동아일보]
개발도상국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소득 양극화가 선진국 경제에서도 심화되면서 '세계 경제의 새로운 복병'으로 떠오르고 있다.
금융위기와 재정위기를 잇달아 겪고 있는 주요 선진국들이 복지비를 대폭 줄인 데다 실업난까지 가중돼 부유층과 빈곤층 간 소득 및 자산 격차가 눈에 띄게 커지면서 양극화가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국면에까지 이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가뜩이나 성장 동력을 잃고 흔들리는 세계 경제의 회복 또한 더욱 느려질 것으로 보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15일 보고서를 통해 2007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OECD 가입 33개 선진국의 소득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2007년에는 OECD 가입국 소득 상위 10%의 부(富)가 하위 10%의 9배였지만 3년 만에 이 수치가 9.5배로 늘어났다. OECD는 이 기간에 소득불평등이 특히 심화된 나라로 미국 멕시코 칠레 터키 등을 꼽았다.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말을 낳을 정도로 훌륭한 복지체계와 낮은 빈부격차를 자랑했던 북유럽 국가에서도 소득불평등이 확대되고 있다. OECD는 1995년 4%였던 스웨덴의 빈곤율이 2010년 9%로 2배 이상으로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같은 기간 핀란드와 룩셈부르크의 빈곤율도 2%포인트 이상 상승했다고 덧붙였다.
국제통화기금(IMF)도 가세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는 이날 미국 워싱턴에서 행한 연설에서 선진국의 빈부격차 심화를 경고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2011년 기준 미국의 소득 상위 1%가 전체 세전 수입의 18%를 차지하고 있다"며 "25년 전 이 비율이 8%에 불과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소득불균형 확대가 세계 정책 당국에 큰 걱정거리가 되고 있음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신용평가회사 무디스도 선진국 경제가 회생 동력을 상실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무디스는 "유로존 침체, 미국의 예산 자동삭감(시퀘스터) 파장이 예상보다 더 크다"며 "세계 경제가 가까운 시일 안에 정상적으로 복귀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 미국, 금융위기 뒤 빈부·인종 간 소득격차 확대
소득불평등이 가장 심화된 선진국은 단연 미국이다. 미국 시장조사회사 퓨 리서치센터가 4월 말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미국 소득 상위 7% 가구의 순자산은 28% 늘었으나,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93% 가구의 재산은 4% 줄었다. 이에 따라 상위 7% 부유층의 재산은 2009년 일반 가구 자산의 18배였으나 2011년에는 24배로 늘었다.
소득 분배의 불공평 정도를 반영하는 지니계수(1에 가까울수록 소득불평등이 심함)도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미국의 지니계수는 1967년 0.397이었지만 2011년 0.477로 20.2% 상승했다. 2011년 수치는 중국 마다가스카르와 비슷한 수준이다.
리처드 프라이 퓨 리서치센터 이사는 "미국이 '두 개의 미국'으로 갈라져 있다는 점이 잘 드러났다"며 "빈부격차는 앞으로 더 심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종 간 소득격차도 빠르게 커지고 있다. 최근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2008년 금융위기 이전 미국 백인 가정은 흑인 및 히스패닉 가정보다 4배가량 많은 자산을 가지고 있었으나 2010년에는 그 격차가 6배로 늘었다. 금융위기 때 자산을 잃은 규모도 다르다. 백인 가정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자산의 11%가량을 잃었지만 흑인(31%), 히스패닉 가정(44%)은 손실 정도가 더 컸다.
전문가들은 소수인종이 백인에 비해 총자산에서 집값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 부동산 가격 폭락에 더 민감한 영향을 받은 데다 금융위기 직전 집값이 최고조였을 때 '상투'를 잡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토머스 사피로 미국 자산사회정책연구소(IASP) 소장은 "미국 내 인종 간 소득불평등의 최대 요인은 주택 보유 여부"라며 "백인이 흑인보다 주택 구입 시 필요한 돈을 구하기 쉽기 때문에 주택 보유 시기가 빨라졌고 그만큼 집값 상승분도 컸으며 상투를 잡을 확률도 줄었다"고 진단했다.
하정민 기자 dew@donga.com
'C.E.O 경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은 있는데 행복하지 않다면… 물건 대신 경험, 나 대신 他人 위해 돈을 써보라 (0) | 2013.05.17 |
---|---|
예금금리 1% 시대…투자귀재들의 재테크는? (0) | 2013.05.17 |
오늘의 나를 죽여야 내일의 내가 태어날 수 있다. (0) | 2013.05.16 |
가계 빚 1천100조 육박…당국 부채 건전성 조사착수 (0) | 2013.05.16 |
朴대통령 "국가채무 30% 중반 이내로 관리…균형재정 달성" (0) | 2013.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