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5. 22. 20:22ㆍC.E.O 경영 자료
놀라운 ‘3D 프린터’… 암 수술도 해냈다
국민일보 입력 2013.05.21 19:12
3차원(3D) 프린터 기술을 활용해 각종 암 수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됐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은 이비인후과 백정환(사진) 교수팀이 부비동암에 걸린 40세 여성과 46세 남성을 수술할 때 3D 프린터 기술을 적용, 이 수술 후 흔한 후유증 가운데 하나인 얼굴과 눈의 함몰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4월 말과 5월 초에 각각 암 절제 수술을 받은 두 환자는 상태가 좋아져 퇴원한 상태다. 국내에서 암 수술에 3D 프린터 기술을 활용한 것은 처음이다.
부비동암은 코 안의 빈 곳인 비강 주위에 있는 동굴과 같은 부비동에 생긴 암을 말한다.
보통 안구를 떠받치는 뼈 등 암이 퍼진 안면부 골격을 크게 도려낸 후 그 자리에 다른 부위의 뼈나 근육을 이식하거나 보형물을 채우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이때 턱뼈와 광대뼈가 제대로 복원되지 않으면 얼굴 생김새가 비뚤어져 위아래 치아가 맞물리지 않는 부정교합이 생길 수 있다. 또 암을 도려낸 곳이 주저앉아 움푹 꺼진 듯이 보이는 후유증을 겪게 될 수 있다.
백 교수팀은 이 같은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암 제거 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어떻게 재건하는 게 좋은지 먼저 3D 입체 모형을 제작해 모의시술을 해 본 뒤 본격 수술에 임했다. 기존의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 자료에만 의존할 경우 아무래도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어서다. 결과도 기대 이상으로 좋았다. 수술 중 예상되는 얼굴 골격의 절제 범위 등을 미리 확인하고, 뼈의 두께와 중요 구조물 등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수술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백 교수는 "3D 프린터 기술을 활용한 사전 모의수술 시험은 기존 부비동암 수술로 인한 얼굴의 변형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앞으로 장기나 조직 등 다른 수술에도 응용이 가능하지 않을까 기대된다"고 말했다.
◇Key Word : 3D 프린터 기술이란
플라스틱 가루를 잉크로 사용해 3차원의 틀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치과에서 틀니를 제작할 때 먼저 본을 뜨고 거기에 맞게 찍어내듯(프린트) 하는 것과 거의 같은 이치다. 미국에선 사제 총을 만들 때 이 기술을 응용해 세계적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현재 국내외 미용성형 분야에선 이런 모형 틀까진 만들지 않고, 수술 전후 모습을 컴퓨터 그래픽(CG)으로 제작 비교해 보는 방식으로 수술 오차를 줄이고 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C.E.O 경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만 좋은 '월드IT', 빛 바랜 '창조경제' (0) | 2013.05.22 |
---|---|
7년 뒤면… 옷도 3D프린터로 찍어 몇 원밖에 안 할겁니다 (0) | 2013.05.22 |
인재를 구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칙 (0) | 2013.05.21 |
삼성 이번에는 디자인 영재 육성 나선다 (0) | 2013.05.21 |
일단 시작하고 보자. (0) | 201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