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2. 26. 21:39ㆍ부동산 정보 자료실
집도 '직거래' 늘었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2.25 17:08
"성사 느리고 집값 조정 강요" 중개업소에 등돌려
네이버 카페만 2000여개…젊은층 중심으로 확산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면서 거래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실수요자들이 중개업소에 등을 돌리고 있다. 과거 집을 팔거나 사기 위해 당연히 거쳐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던 중개업소가 실수요자들로부터 '찬밥' 취급을 받고 있는 것. 대신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한 직거래가 늘면서 거래 서류를 대신 작성해주는 법무사나 행정사의 일감이 느는 추세다.
■"성사 더디고, 값 낮추라 강요"
2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 등에 따르면 올 들어 서울의 주택거래량은 전년동기 대비 2~3배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5일까지 2월 주택거래량은 5564가구로 지난해 2월 한 달간 거래된 2937가구의 약 2배에 육박한다. 또 지난 1월에는 총 4668가구가 거래돼 전년 동기 대비 4.1배가량 증가했다.
그러나 중개업소를 찾는 실수요자들은 줄어들고 직거래가 늘고 있는 추세다. 실제 직거래 관련 웹사이트나 온라인 커뮤니티도 크게 증가, 포털 네이버에 등록된 부동산 직거래 커뮤니티만 2400여개를 넘어섰다.
이 같은 인식은 일부 중개업소에 대한 불신과 인터넷 이용의 편리성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20~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터넷 직거래 효과가 훨씬 빠르고 합리적이라는 인식이 많은 편이다.
최근 중개업소에 아파트를 내놓은 서울 성동구 금호동의 김모씨(35)는 "중개업소에서는 거래수수료가 곧 수익이다 보니 어떻게든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 무조건 집값을 낮추라고 한다"며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보고 내놓는 시세라도 '거래가 성사되려면 더 낮춰야 한다'며 강요한다"고 토로했다. 서울 강남구 개포주공 3단지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도 "시세표에 적힌 가격이 가장 최근의 실거래가지만 500만~1000만원 더 낮아야 팔리지, 시세표대로라면 쉽게 매각이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중개수수료도 상한요율만 정해져 있어 깎아주는 행태 만연 등 업소마다 제각각인 중개수수료 역시 불신을 부추긴다는 지적이다.
실제 지난해 부동산 거래가 증가했으나 중개업소 수는 그다지 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주택 매매거래량은 85만1850건으로 2012년 대비 15.8% 증가했지만 공인중개사는 0.33%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수도권은 같은 기간 주택거래량은 33.51% 늘었지만 중개업자 수는 4만6248명에서 4만4942명으로 1306명 줄었다.
■법무사.행정사 일감도 증가
이처럼 수요자들이 중개업소보다는 서류작업을 대신해줄 수 있는 전문가에게 발길을 돌리면서 법무사나 행정사의 일감이 늘고 있다.
법무사 K씨는 "지난해부터 중개수수료를 아끼기 위해 법무사 사무실을 찾는 고객들이 늘어났다. 고객 대부분은 취득세 등 세금 납부와 등기업무 등을 의뢰하고 있다"며 "이들은 공인중개사가 해주던 계약서 작성 업무를 요구하기도 하는데 5만~10만원 정도만 받고 일을 해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마포구의 B공인 중개업자도 "직거래가 늘면서 중개업소 매출도 줄고 있다"며 "거래 당사자들이 물건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법무사 등을 방문하는 것으로 안다. 물건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즉시 계약서를 작성하는데 이마저 법무사 등을 통하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 중개업소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수도권에서 올해로 20년째 중개업소를 운영 중인 김모씨는 중개사무소 간판을 내릴지 고민이다. 0.4~0.5%의 중개수수료를 아끼려는 수요자들이 각종 친목모임 및 인터넷 동호회를 중심으로 직거래에 나서기 때문이다.
그는 "지역별 차이는 있지만 일부 지역은 지역공인중개사협회 차원에서 인터넷 사이트 운영자에게 매물을 내려줄 것을 항의하는 일이 빈번하다"면서도 "이 같은 요구에 법적 강제성이 없고 일일이 각종 모임의 통제도 어려워 직거래는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pio@fnnews.com 박인옥 이정은 기자
'부동산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탑방 허용할 테니 주차장 만들라는 국토부 (0) | 2014.03.05 |
---|---|
사라지는 농촌마을, 한계(限界)마을정책 시급 (0) | 2014.02.26 |
[경제혁신 3개년]지하경제 '상가권리금'.. 법으로 묶는다 (0) | 2014.02.25 |
"보증금 1억 날려"..깡통전세 피해 속출 (0) | 2014.02.24 |
규제 풀자 '재건축' 꿈틀.. 주택시장 생기 (0) | 2014.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