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 수 있었던' 3번의 탈출 기회…아이들은 애타게 외쳤다
2014. 4. 30. 21:59ㆍ이슈 뉴스스크랩
'살 수 있었던' 3번의 탈출 기회…아이들은 애타게 외쳤다
[앵커]
두 단원고 학생이 남긴 동영상을 통해 당시 세월호에선 최소한 세 번의 탈출 기회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러나 이 세 번 모두, 무책임한 어른들 때문에 물거품이 되고 말았습니다.
박상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날 오전 9시 7분, 구명동의를 입은 아이들이 탈출을 생각합니다.
[이게 무슨 상황인지 모르겠어. 구명조끼 입으란 거는 침몰되고 있다는 소리 아니야?]
[어 진짜 바다로 뛰어들 거 같아.]
[우리 이렇게 바다로 헤엄쳐서 이렇게 될 거야.]
그런데 안내 방송이 구조를 막습니다.
[다시 한 번 안내 말씀 드립니다. 현재 위치에서 절대 이동하지 마시고]
그로부터 30분이 지난 뒤 학생들 상황에 변화가 뚜렷합니다.
각자 객실에서 대기하던 아이들이 복도로 나와 바닥처럼 드러누운 벽에 나란히 누워서 어쩔 줄 몰라합니다.
이 때 헬기가 나타납니다.
[와. 헬리콥터 온다.]
헬기가 세월호에 근접해 '대피 안내 방송'만 제대로 했다면 아이들은 밖으로 나올 수 있었던 상황입니다.
또 아직 물 위에 노출됐던 우현에 있던 학생들은 구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컸습니다.
하지만 처음으로 도착한 해경은 배 앞쪽에 123 구조정을 대고 선장과 선원을 대피시키는데 급급했습니다.
같은 시각,
[와. 바다로 뛰어 내린다.]
학생들은 탈출 안내 방송을 기다리며 바다에 뛰어 들 각오를 했지만,
[구명동의에 끈이 제대로 묶여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 기회가 왔지만, 선장 등 선원들은 진도 관제센터와 교신을 중단하고 탈출을 준비합니다.
객실 앞 복도에 남은 학생들은 애타게 외쳐보지만,
[구조 좀.]
끝내 구조 기회를 잃고 맙니다.
박상욱 기자
두 단원고 학생이 남긴 동영상을 통해 당시 세월호에선 최소한 세 번의 탈출 기회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러나 이 세 번 모두, 무책임한 어른들 때문에 물거품이 되고 말았습니다.
박상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날 오전 9시 7분, 구명동의를 입은 아이들이 탈출을 생각합니다.
[이게 무슨 상황인지 모르겠어. 구명조끼 입으란 거는 침몰되고 있다는 소리 아니야?]
[어 진짜 바다로 뛰어들 거 같아.]
[우리 이렇게 바다로 헤엄쳐서 이렇게 될 거야.]
그런데 안내 방송이 구조를 막습니다.
[다시 한 번 안내 말씀 드립니다. 현재 위치에서 절대 이동하지 마시고]
그로부터 30분이 지난 뒤 학생들 상황에 변화가 뚜렷합니다.
각자 객실에서 대기하던 아이들이 복도로 나와 바닥처럼 드러누운 벽에 나란히 누워서 어쩔 줄 몰라합니다.
이 때 헬기가 나타납니다.
[와. 헬리콥터 온다.]
헬기가 세월호에 근접해 '대피 안내 방송'만 제대로 했다면 아이들은 밖으로 나올 수 있었던 상황입니다.
또 아직 물 위에 노출됐던 우현에 있던 학생들은 구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컸습니다.
하지만 처음으로 도착한 해경은 배 앞쪽에 123 구조정을 대고 선장과 선원을 대피시키는데 급급했습니다.
같은 시각,
[와. 바다로 뛰어 내린다.]
학생들은 탈출 안내 방송을 기다리며 바다에 뛰어 들 각오를 했지만,
[구명동의에 끈이 제대로 묶여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 기회가 왔지만, 선장 등 선원들은 진도 관제센터와 교신을 중단하고 탈출을 준비합니다.
객실 앞 복도에 남은 학생들은 애타게 외쳐보지만,
[구조 좀.]
끝내 구조 기회를 잃고 맙니다.
박상욱 기자
'이슈 뉴스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성 산기슭 인적 없는 가건물이 선박 수리업체? (0) | 2014.05.01 |
---|---|
허술한 대응, 이유 있었다?..해경 지휘부 절반, 바다경험 無 (0) | 2014.05.01 |
외국 언론에 비친 세월호 침몰.. 선장 탈출에 충격, 무능력한 정부 조롱 (0) | 2014.04.30 |
"선령완화 이후 노후선박 수입비중 두배로 껑충" (0) | 2014.04.30 |
청해진해운 대표, 여러차례 통화..유병언에 침몰 보고? (0) | 201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