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자들의 회사 운영 제1원칙은 '공무원 관리'
2014. 5. 5. 20:01ㆍC.E.O 경영 자료
업자들의 회사 운영 제1원칙은 '공무원 관리'
[연속기획 - 썩어가는 공직사회, 이제 칼을 들어라①] 노컷뉴스 입력 2014.05.05 03:
[CBS노컷뉴스 임진수 윤지나 박종관 기자]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공직사회를 보는 국민들의 시선이 그 어느 때보다 차갑다. 공무원과 산하단체, 이익단체, 사기업 사이에 얽히고설킨 유착 관계가 소중한 생명을 앗아간 사고의 발단이 됐고 촉각을 다투는 구조 현장에서조차 공직사회의 부처이기주의와 제 밥그릇 챙기기, 복지부동이 여실히 드러났다. 썩어가는 공직사회의 민낯을 지켜본 국민들 사이에서는 더 이상 공직사회를 이대로 내버려둬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CBS 노컷뉴스는 6차례에 걸쳐 공직사회 개혁의 필요성과 그 방향을 살펴보는 연속기획을 마련했다. [편집자주]
수도권의 한 지자체에서 30년 동안 근무한 A(65) 씨는 정년퇴직 이후 산하 기관장을 거쳐 요즘은 건설업체 상무로 일하고 있다. 건설 관련 인허가 업무를 하며 5급으로 퇴직한 덕분이다. A씨는 업체에 후배 공무원들을 소개시키는 일을 한다. 밤마다 사장이나 다른 직원들을 데리고 나가 함께 술을 마시는 것이다. 시쳇말로 '술 상무'다.
# 장면 2
건설자재 납품업을 하는 B(45) 씨가 회사를 운영하는 제1 원칙은 공무원 관리다. 아버지는 사업을 물려주며 귀에 못이 박히도록 접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고향인 경상북도 인맥은 든든한 버팀목이다. 이런 인맥이 없으면 지자체가 발주하는 사업에 납품이 어렵기 때문에 평소에 골프 접대와 술자리 등으로 인맥을 관리한다. 이제는 공무원들이 자기들끼리 술을 마시다가도 B씨에게 연락을 해온다고 한다. 와서 술값을 계산하라는 것이다.
세월호 침몰로 인한 파도가 공직사회를 집어삼킬 기세다. 아니, 세월호 참극을 낳은 '관료사회의 적폐'가 이제야 제대로 부메랑을 맞았다. A씨와 B씨처럼 공무원과 산하기관, 이익단체, 그리고 사기업까지 거미줄처럼 얽히고설킨 오랜 유착관계가 주요 타깃이다.
이번 세월호 참사의 1차적 원인은 승객 구조를 외면한 선장과 선원, 그리고 '돈'에 눈이 먼 선사의 무책임한 태도에 있다. 하지만 선박 도입과 개조에서부터 안전 점검, 운항 허가 등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관리ㆍ감독을 게을리 한 관료조직에 근본적인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앞장서 선박 연령을 최대 30년까지 연장이 가능하도록 했다. 세월호가 무게를 239톤이나 늘리고 정원도 116명이나 늘린 무리한 구조 변경을 했는데도 한국선급의 안전검사에서 걸러지지 않았다. 선박 안전운행에 필수적인 평형수 대신 수백톤의 화물이 더 실렸는데도 해운조합은 세월호를 출항시켰다.
해운업계의 이런 잘못된 관행은 결국 정부가 유도한 것이나 다름없다. 해양수산부 등 정부의 퇴직 공직자들은 자리에만 관심을 보였다. 한국선급은 역대 회장과 이사장 12명 중에서 8명이 관련 기관의 관료 출신이었다. 해운조합도 고위 관료 출신들이 역대 이사장 12명 가운데 10명을 차지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감독은 '뒷전'으로 밀리고, 서로 '뒷배'를 챙기는 유착관계만 더 깊어졌다.
부처와 산하기관, 또 이익단체 간의 이런 '밀회'는 비단 '해피아(해수부+마피아)'에 그치지 않는다. 원조 격인 '모피아', 즉 옛 재무부 출신 인사들의 산하기관 장악을 넘어 이제는 관료에 '마피아'를 결합한 '관피아'가 한국 사회를 포위했다는 말까지 나온다. '산피아(산업통상자원부+마피아)', '국피아(국토교통부+마피아)', '교피아(교육부+마피아)'에 원전마피아, 철도마피아까지 그야말로 '관피아 전성시대'다.
앞서 살펴본 A씨와 B씨의 사례처럼 비단 공무원 조직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은 상황의 심각성을 키운다. 언론과 시민단체의 감시가 상대적으로 소홀한 지방자치단체의 관피아는 그 규모와 실태조차 가늠하기 어렵다. 중앙의 관피아가 덩치를 키워 생명을 위협하는 '암덩어리'라면 지방의 관피아는 '기생충'에 비유할 수 있다. 이미 우리 몸을 파고들어 건강을 해치고 있는데도 누구도 관심을 기울이지 앓기 때문이다. 쳐부술 것은 '암덩어리'만이 아니다.
전문가들은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해피아 등 공직사회의 폐단이 드러난 만큼 이번 기회에 중앙 부처나 지자체를 가리지 않고 개혁의 칼날을 휘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형철 연세대 철학과 교수는 "외양간을 고쳐야 될 최적의 시기는 바로 소를 잃고 난 직후"라며 "선후배 관계나 전임자-후임자 관계가 아주 공고하게 짜여 있어서 선배가 먼저 유관기관에 가면 후배가 안 챙겨줄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또 자기도 그 길을 따라가면 자기 후배가 자기를 봐주도록 돼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panic@cbs.co.kr
'C.E.O 경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월호참사> "살아남은 게 부끄러워 숨은 줄 알았는데.." (0) | 2014.05.05 |
---|---|
50대 기업, 사회적 책임 '외면' (0) | 2014.05.05 |
세계는 지금 '꿈의 소재' 탄소섬유 전쟁 중 (0) | 2014.05.05 |
지난해 세계 3D 프린팅 시장 34.9% 성장 (0) | 2014.05.04 |
대한민국 어머님분들과 선생님들께...강한 국민 보여주십시오. (0) | 2014.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