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개 중소기업 구조조정 추진..71개사는 '퇴출'
2014. 11. 19. 20:26ㆍC.E.O 경영 자료
125개 중소기업 구조조정 추진..71개사는 '퇴출'
[중소기업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구조조정 대상 기업 작년 보다 11.6% 증가]
퇴출 71개를 비롯해 125개 중소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
금융감독원은 19일 2014년 중소기업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125개 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지난해에 비해 11.6%(13개) 증가했다. 워크아웃에 들어가는 C등급이 54개, 사실상 퇴출되는 D등급은 71개사다. C등급은 지난해와 동일한 반면 D등급이 13개 늘어났다.
금감원은 경기회복 지연 등에 따라 기업의 경영실적이 악화되고 채권은행들의 적극적인 구조조정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밝혔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76개로 전년(53개)대비 43.4%(23개) 증가한 반면, 비제조업은 49개로 전년(59개)대비 16.9%(10개) 감소했다.
제조업의 경우 전자부품(전년대비 8개↑), 플라스틱제품(6개↑), 기타 운송장비(5개↑) 업종이 증가했고 비제조업은 경기민감업종인 부동산업(2개↑), 도소매업(2개↑)이 소폭 늘었다. 오락 및 레저서비스업(18개↓)은 대폭 감소했다.
구조조정 대상 기업들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총 1조4069억원이며 은행권은 약 4854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은행들이 이미 2328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한 상태여서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실제로 충당금 추가 적립으로 인한 은행권의 BIS 비율 하락폭은 0.02%p에 불과할 것으로 추정된다.
금감원은 평가 결과 B등급을 받은 32개사 중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겪는 기업에 대해서는 패스트 트랙(Fast Track,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자금지원을 유도하고 C등급 기업은 자산부채 실사 및 경영정상화계획 수립 등 워크아웃을 조속히 추진토록 지도할 방침이다.
특히 B등급과 C등급 기업에 대해선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 건강 관리시스템'을 활용해 정상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D등급 기업은 채권금융회사의 지원없이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거나 법원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유도키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신용위험평가 직후 정상평가 기업이 회생절차를 신청하거나, 합리적 이유 없이 워크아웃이 중단되는 사례에 대해서는 실태점검 등을 통해 신용위험평가 및 워크아웃기업 사후관리의 적정성 등을 철저히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중소기업 정기 신용위험평가는 신용공여합계액이 500억원미만 기업중 개별은행 신용공여금액 50억원 이상인 중소기업 1만6994개를 대상으로 7월~10월까지 진행됐다.
김진형기자 jhkim@mt.co.kr
'C.E.O 경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타적 생각이 좋은 아이디어의 원천이 된다 (0) | 2014.11.19 |
---|---|
내년 인구구조 역삼각형 전환…고령화사회 본격 도래 (0) | 2014.11.19 |
성공한 사람들이 절대 하지 않는 5가지 말 (0) | 2014.11.19 |
[흔들리는 동북아 물류허브] 뛰는 중국항 기는 부산항… 규제 개선 없인 10위권 수성도 위태 (0) | 2014.11.19 |
세월호 참사와 국민안전처 관련 논평 (0) | 201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