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박스' 설치 5년… 두고 간 아기 4명(2010년 서울) → 220명(올해)으로 늘어
2014. 12. 29. 22:18ㆍ이슈 뉴스스크랩
'베이비박스' 설치 5년… 두고 간 아기 4명(2010년 서울) → 220명(올해)으로 늘어
서울 한 교회가 처음 설치
"아기 버리는 걸 조장" 對 "생명 살리는 역할" 맞서
2011년 이종락 목사가 자신이 만든 베이비박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태경 기자 |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 한 해 서울의 베이비박스를 통해 유기된 영아는 220명이다. 올해 전체 서울시내 유기 영아 228명의 96.4%에 달하는 수치다. 2010년 4명이 베이비박스를 통해 유기된 데 비하면 50배 이상 급증한 셈이다. 2009년 12월 민간 종교단체가 베이비박스를 설치한 이후 서울시내 유기 영아는 2010년 20명, 2011년 43명, 2012년 79명으로 꾸준히 늘다가 작년 239명으로 급증했다. 반면 보건복지부가 매년 발행하는 보건복지통계연보에 따르면, 전국의 유기 영아는 2010년 191명, 2011년 218명, 2012년 235명, 2013년 285명으로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다. 유기 영아가 전국적으로는 완만하게 늘고 있는 반면, 서울은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전국 각지의 구청이나 보육원에 버려지던 아이들이 베이비박스로 몰리고 있다"며 "'베이비박스에 아기를 맡기면 안심' 이라는 인식이 퍼진 것"이라 말한다.
5년 전 서울 관악구에 베이비박스를 설치한 주사랑공동체 이종락 목사도 "베이비박스는 생명을 살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그 순기능에 대해 설명했다. 이 목사는 "영아 유기가 증가한 것은 친부모의 출생신고를 의무화한 입양특례법 개정 때문"이라며 "나도 베이비박스 없는 사회가 되길 바라지만, 그전에 법을 국내 현실에 맞게 개선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베이비박스가 아기를 버릴 마음을 쉽게 갖도록 하는 측면이 있다는 비판도 줄어들지 않고 있다. 서울의 베이비박스를 본떠 지난 5월 설치된 경기도 군포시 베이비박스에도 설치 5개월 만에 아기 18명이 버려졌다. 숭실대 사회복지학과 노혜련 교수는 "베이비박스가 아기를 쉽게 버릴 수 있는 통로로 악용되고 있다"며 "유기된 아이들을 돌보기 위해 베이비박스를 설치했다는 의도는 존중하지만, 친부모가 아기를 버리기보다는 키울 수 있도록 지원책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효인 기자]
'이슈 뉴스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장님은 9천 원, 노숙자는 3만 6천원…불합리한 건강보험료 (0) | 2015.01.06 |
---|---|
"석유공사, 하베스트사 엉터리 인수"..1조3371억 손실 (0) | 2015.01.03 |
미군기지 잔류로 '속앓이' 깊어지는 동두천시 (0) | 2014.12.28 |
유기동물 매년 10만 마리 … 절반은 입양 안 돼 안락사 (0) | 2014.12.27 |
무너진건 민주주의 아닌 통진당의 붉은 망상 (0) | 201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