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6. 1. 20:22ㆍ부동산 정보 자료실
못 믿을 부동산 통계..주택, 분양권 거래량 편차 커
부동산 시장이 달아오르면서 관련 통계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지만, 정작 정부가 집계하는 부동산 통계에 대한 신뢰도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아파트 매매거래량 등 집계된 주택거래량 수치가 지자체와 차이를 보이고 있고, 분양권 거래량 통계도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교통부가 운영하는 온나라부동산정보 통합포털에 따르면 4월 서울 지역 아파트매매 거래량은 1만4234건이다. 반면 서울시의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서 확인되는 지난달 서울 지역 아파트매매 거래량은 1만3829건으로, 405건이 적다.
↑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각각 집계한 올 3, 4월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량/국토교통부, 서울시 제공. 그래픽=유새별
↑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각각 집계한 올 3, 4월 서울 지역 아파트 분양권 거래량/국토교통부, 서울시 제공. 그래픽=유새별
세부적인 수치도 차이가 난다. 4월 노원구 아파트매매 거래량의 경우 국토부는 1327건이라고 밝혔지만, 서울시는 이보다 50여건 적은 1278건이라고 집계했다. 같은 달 송파구의 아파트매매 거래량도 각각 836건(국토부)과 797건(서울시)으로 다르게 조사됐다.
매달 발표되는 통계가 년(年) 단위로 쌓이면 이 차이는 커진다. 지난해 국토부가 조사한 서울 내 아파트매매 거래량은 9만1696건이었던 반면, 서울시는 9만252건이라고 발표했다. 2013년도는 각각 6만8702건, 6만6256건으로 2546건이 차이가 난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집계방식이 달라 이 차이가 발생된다고 보고 있다. 서울시는 매매 신고건수나 취소건수 등 매일 달라지는 주택거래 수치를 반영하고 있지만, 국토부는 한 달 주기로 지자체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취합하고 보정작업을 거치기 때문에 일부 차이는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국토부는 통계청의 공식 승인을 받기 위해 공신력을 높이는 작업을 한다면, 서울시는 변화하는 거래량의 흐름을 보정 없이 그대로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것이 맞는 통계라고 볼 수는 없다"면서 "년 단위에서 1000~2000건 정도의 차이는 통계의 큰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보는 사람들이 감안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분양권 거래량 통계도 문제가 있다. 4월 온나라부동산정보 통합포털에서 확인되는 서울 지역 아파트 분양권 거래량은 1391건이지만, 서울시는 675건이라고 밝혔다. 국토부와 서울시의 집계 결과가 무려 두 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이다. 이 집계는 매달 차이를 보인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3월도 각각 1539건, 620건으로 다르게 발표했다.
이런 차이는 국토부가 분양권 거래량에 분양권 전매신고 건수뿐 아니라 검인 건수를 합해 집계하기 때문에 발생하고 있다. 검인 건수는 주택 준공 시점에 진행되는 소유권 등기 이전 절차이기 때문에 분양 시점보다 2~3년 전의 시장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다. 분양권 전매는 2006년부터 검인이 아닌 실거래 신고를 통해 이뤄진다. 때문에 국토부의 집계 방식은 현재 분양권 거래 시장을 보여주기엔 적절하지 못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토부 관계자는 "검인 건수는 2~3년 전 진행된 분양 계약을 집계한 것이기 때문에 현재 시장 상황을 반영한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면서 "내년부터는 분양권 전매신고와 검인 건수를 분리해 집계, 공표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V·DTI 규제 완화 1년 연장한다 (0) | 2015.06.02 |
---|---|
재건축, 들썩이는 강남-썰렁한 非강남 (0) | 2015.06.01 |
4월 주택 인허가 5만1000가구…전년比 20%↑ (0) | 2015.05.26 |
"세입자 맞아?"…집 사기도 전에 사위와 전세계약 (0) | 2015.05.16 |
봄바람 완연한 주택시장.. 4월 거래량 사상최대 (0) | 201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