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땅값 50년새 3030배 증가…5848조 추정
2015. 11. 16. 18:00ㆍ부동산 정보 자료실
우리나라 땅값 50년새 3030배 증가…5848조 추정
뉴시스 원문 입력 2015.11.16 12:00 수정 2015.11.16 14:04
평방미터 평균가 20원→5만8000원 2976배↑
지가 상승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더욱 둔화
【서울=뉴시스】조현아 기자 = 우리나라의 명목 토지자산 가액이 경제 개발이 본격화된 1960년대 이후 약 50년새 303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국민B/S 조태형 팀장 최병오 과장, 장경철 조사역, 김은우 조사역이 분석한 BOK 경제리뷰 '우리나라의 토지자산 장기시계열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1960년대 중반 이후의 토지자산 시계열을 장기로 확장·추정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전국의 전체 지가총액은 지난 1964년 1조9300억원에서 2013년 5848조원으로 3030배 뛰었다.
같은기간 대지는 5600억원에서 2971조8000억원으로 5307배 급증했다. 공장용지는 1976년 70억원에서 285조원으로 무려 4만714배 늘었고, 기타토지도 4459배 증가했다. 반면 답(883배)과 임야(2018배)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폭을 보였다.
이로 인해 전체 지가총액의 28.8%를 차지하던 대지는 2013년 50.8%로 급등했으나 전·답·임야는 같은기간 57.2%에서 23.7%로 쪼그라들었다. 공장용지는 0.015%에 불과했으나 2013년 4.9%로 늘어났다.
지가총액의 GDP(국내총생산)대비 비율은 1964~2013년중 평균 392%로 나타났다. 이중 1970년(547%)과 1991년(597%)에 크게 늘어났으며 2013년도 409%로 전체 평균 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우리나라 토지의 평방미터(㎡)당 평균 가격은 19.6원에서 5만8325원으로 2976배 올랐다. 평균지가는 1968년과 1978년, 1989년에 급등했고, 1983년과 2002년에도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부터 지가상승률이 떨어지는 가운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은 뒤 상승률이 더욱 둔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주체별 지가총액은 정부가 차지하는 비중이 1964년 13.2%에서 2013년 26.1%로 13%p 늘어났다. 정부 소유의 토지면적이 21.8%에서 32.5%로 상승한 영향이다. 반대로 민간이 차지하는 비중은 86.8%에서 73.9%로 줄어들었다.
연구팀은 "이번 조사는 우리나라 국부의 과반을 차지하는 토지자산의 장기 시계열을 일관된 방법으로 추정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며 "1960년대 중반 이후 토지자산이 어떠한 변동 패턴을 보였는지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개발 과정을 토지자산의 가치변화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hacho@newsis.com
평방미터 평균가 20원→5만8000원 2976배↑
지가 상승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더욱 둔화
【서울=뉴시스】조현아 기자 = 우리나라의 명목 토지자산 가액이 경제 개발이 본격화된 1960년대 이후 약 50년새 303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국민B/S 조태형 팀장 최병오 과장, 장경철 조사역, 김은우 조사역이 분석한 BOK 경제리뷰 '우리나라의 토지자산 장기시계열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1960년대 중반 이후의 토지자산 시계열을 장기로 확장·추정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 |
전국의 전체 지가총액은 지난 1964년 1조9300억원에서 2013년 5848조원으로 3030배 뛰었다.
같은기간 대지는 5600억원에서 2971조8000억원으로 5307배 급증했다. 공장용지는 1976년 70억원에서 285조원으로 무려 4만714배 늘었고, 기타토지도 4459배 증가했다. 반면 답(883배)과 임야(2018배)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폭을 보였다.
이로 인해 전체 지가총액의 28.8%를 차지하던 대지는 2013년 50.8%로 급등했으나 전·답·임야는 같은기간 57.2%에서 23.7%로 쪼그라들었다. 공장용지는 0.015%에 불과했으나 2013년 4.9%로 늘어났다.
지가총액의 GDP(국내총생산)대비 비율은 1964~2013년중 평균 392%로 나타났다. 이중 1970년(547%)과 1991년(597%)에 크게 늘어났으며 2013년도 409%로 전체 평균 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우리나라 토지의 평방미터(㎡)당 평균 가격은 19.6원에서 5만8325원으로 2976배 올랐다. 평균지가는 1968년과 1978년, 1989년에 급등했고, 1983년과 2002년에도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부터 지가상승률이 떨어지는 가운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은 뒤 상승률이 더욱 둔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주체별 지가총액은 정부가 차지하는 비중이 1964년 13.2%에서 2013년 26.1%로 13%p 늘어났다. 정부 소유의 토지면적이 21.8%에서 32.5%로 상승한 영향이다. 반대로 민간이 차지하는 비중은 86.8%에서 73.9%로 줄어들었다.
연구팀은 "이번 조사는 우리나라 국부의 과반을 차지하는 토지자산의 장기 시계열을 일관된 방법으로 추정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며 "1960년대 중반 이후 토지자산이 어떠한 변동 패턴을 보였는지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개발 과정을 토지자산의 가치변화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hacho@newsis.com
'부동산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 10년 모신 무주택 자녀 최대 15억짜리 집 상속세 `0원` (0) | 2015.11.18 |
---|---|
경찰 "아파트 관리사업 각종 비리 꼬리 자른다" (0) | 2015.11.17 |
중국인 소유의 서울시내 토지가 크게 늘고 있다. (0) | 2015.11.15 |
전세대란에… 서울 떠난 인구 (0) | 2015.11.13 |
[단독]‘김무성 사위’ 보름 변론에 5000만원… 최교일, 회삿돈 받아 (0) | 2015.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