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7. 18. 19:53ㆍ부동산 정보 자료실
'전세끼고 매매' 주의보
올 상반기 성북·중랑·관악 전세가 상승에 비해 매매가 저조
매일경제 김기정 입력 2016.07.18. 17:36 수정 2016.07.18. 19:38
![올 상반기 송파구 등 강남권 아파트 값은 올라도 전세가율은 오히려 떨어졌다. 사진은 송파구 아파트촌 전경. [매경DB]](http://t1.daumcdn.net/news/201607/18/mk/20160718193803942mbha.jpg)
18일 매일경제가 부동산114 자료를 기초로 올 상반기 서울 25개 자치구 전세가율과 집값 상승폭을 비교·분석한 결과 전셋값이 오르면 매매값을 밀어올린다는 일반적인 믿음과 달리 전세가율이 높았던 지역의 집값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전세가율은 집값 대비 전세가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부동산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전세가율이 높은 곳은 전셋값보다 매매값이 덜 올랐다는 뜻으로 앞으로 오를 가능성이 더 높아 투자 매력도가 있는 것으로 해석됐다. 박합수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전세가율이 70%를 넘어서면 집값을 밀어 올린다는 분석이 있어 갭투자자들이 전세가율을 보고 투자했다"고 말했다.
![](http://t1.daumcdn.net/news/201607/18/mk/20160718193804173uyvq.jpg)
하지만 지난해 말 기준 전세가율이 가장 높았던 성북구, 중랑구, 관악구의 매매가격 상승은 서울지역 평균 상승폭보다 낮았다.
올 상반기 매매가 상승폭이 가장 컸던 곳은 강남 3구로 강남 3.83%, 서초 2.65%, 송파가 2.28% 올랐다.
이들 지역의 전세가율은 각각 59.5%, 62.5%, 68.3%에 불과하다. 특히 강남, 서초, 송파는 매매가는 올랐지만 전세가율이 1.4~1.7%포인트 하락했다.
신정섭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은 "집값도 오르고 전세가율이 80%에 육박하며 갭투자가 성행했지만 전셋값이 떨어지면 역전세난, 집값이 떨어지면 깡통전세의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김기정 기자]
'부동산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리금 폭탄' 언제까지 돌릴 건가요 (0) | 2016.07.24 |
---|---|
[이슈 진단]세제 개편 대수술, 지금 안하면 못한다 (0) | 2016.07.18 |
돈 다 냈는데 "불법분양"..쫓겨나는 입주자들 (0) | 2016.06.28 |
전세에 치인 2030 "차라리 집 사자" (0) | 2016.06.20 |
상가임대차 보호 기간 10년으로 연장되나? (0) | 2016.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