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근무제' 3개월 빅데이터 봤더니…근무시간 줄고 출퇴근 시간 늦어져
2018. 10. 2. 18:42ㆍC.E.O 경영 자료
입력 : 2018.10.02 10:08
KT는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3개월을 맞이해 사람들의 변화된 생활 패턴을 빅데이터로 분석한 결과를 2일 발표했다.
- ▲ 서울 종로구 광화문에 위치한 KT광화문빌딩 이스트에서 KT 직원들이 퇴근하는 모습. /KT 제공
KT가 분석한 유동인구 빅데이터를 보면 2018년 8월 1일부터 9월 16일까지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일대 직장인 일 평균 근무시간(체류시간)은 2017년 같은 기간보다 평균 55분 감소했다.
KT 유동인구 빅데이터는 휴대폰과 기지국이 교환하는 신호정보를 바탕으로 분석됐다. 직장인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한 달에 10일 이상 동일 기지국에 4시간 이상 규칙적으로 연결된 휴대폰 이용자를 의미한다.
정보기술(IT)과 게임 업계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이 많은 경기도 성남시 판교의 경우 2018년 직장인 일 평균 근무시간이 2017년 동기간보다 평균 11.6분 감소했다. 근무제 유예 대상인 금융 업계 대기업이 많은 서울 여의도는 평균 6분이 감소했다. 반면 300인 이하 중소기업·벤처기업이 많은 가산디지털단지의 경우 평균 5분이 증가했다.
주 52시간 근무제는 직장인 출퇴근 시간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8월 1일부터 9월 16일까지 광화문 일대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은 오전 7시 30분에서 8시 사이에 해당 지역의 전체 직장인 중 26%가 출근했다.
하지만 2018년 같은 기간에는 전체 직장인 중 15%만 출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전 8시 30분부터 9시 사이에 출근하는 직장인은 2017년 21%에서 2018년 38%로 늘어나 출근 시간이 30분 가량 늦춰진 것으로 분석됐다.
윤혜정 KT 빅데이터사업지원단장은 "직장인들의 일 평균 근무시간이 감소하고 출∙퇴근 시간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로 맞춰져 가는 등 생활 패턴의 변화가 빅데이터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C.E.O 경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원책에게 국민이 전하는 메시지. (0) | 2018.10.03 |
---|---|
[김기천 칼럼] 대기업 총수들의 정상회담 들러리 (0) | 2018.10.02 |
日 노벨상 수상자, "연구자들이여, '여섯 개의 C'를 추구하라" (0) | 2018.10.02 |
심재철 “靑, 세월호 미수습자 참배일에 술집서 업추비 사용” 주장 (0) | 2018.10.02 |
초라한 국군의 날 행사, 과도한 북한 눈치보기 아닌가?> (0) | 2018.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