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자문 민관 전문가그룹이 공개한 `저출산 미래 비전(안)`에 따르면 혼인해야 하는 필요성 인식 수준이 갈수록 낮아지는 추세다.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거나 하는 것이 좋다`는 등 결혼의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2010년 64.7%에서 2012년 62.7%, 2014년 56.8%, 2016년 51.9% 등으로 떨어졌다.
결혼해야 한다고 여기는 비율이 미혼남성은 2010년 62.6%에서 2012년 60.4%, 2014년 51.8%, 2016년 42.9%로 줄었다. 미혼여성도 2010년 46.8%에서 2012년 60.4%, 2014년 38.7%, 2016년 31.0% 등으로 떨어졌다.
[디지털뉴스국]
27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자문 민관 전문가그룹이 공개한 `저출산 미래 비전(안)`에 따르면 혼인해야 하는 필요성 인식 수준이 갈수록 낮아지는 추세다.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거나 하는 것이 좋다`는 등 결혼의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2010년 64.7%에서 2012년 62.7%, 2014년 56.8%, 2016년 51.9% 등으로 떨어졌다.
결혼해야 한다고 여기는 비율이 미혼남성은 2010년 62.6%에서 2012년 60.4%, 2014년 51.8%, 2016년 42.9%로 줄었다. 미혼여성도 2010년 46.8%에서 2012년 60.4%, 2014년 38.7%, 2016년 31.0% 등으로 떨어졌다.
[디지털뉴스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