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우리경제의 예측가능성 제고를 위한 콘퍼런스'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대한상공회의소]](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01/222a1400-a06b-4300-80eb-81cd74b0cc09.jpg)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우리경제의 예측가능성 제고를 위한 콘퍼런스'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대한상공회의소]
김 교수는 이어 "분배 정책을 세울 때도 어떤 계층에 얼마나 분배할 것인지 토론을 하지 않는 점도 문제"라며 "'어떤 분배가 필요한지' 정확히 집중하는 정책을 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미래형 산업을 육성하는 '혁신 성장'도 정부가 주도하는 형태가 돼선 곤란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현재 정부는 에너지 신산업·미래 차·사물인터넷(IoT)·가전·바이오·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다섯 가지 분야를 5대 신산업으로 정해 정부 예산을 밀어주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혁신 성장을 시장이 주도할 수 있는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성호 대한상의 SGI 신성장연구실장은 "한국 기업들은 90년~2012년까지 연구개발 등 혁신에 투자를 많이 했지만, 2012년을 기점으로 투자가 크게 줄었다"며 "규제와 불확실성이 한국 사회 곳곳에서 경제 체질 전환을 가로막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