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 두 번째)이 26일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홍 부총리,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연합뉴스
작년까지는 세수 호황이 받쳐줘 재정에 ‘펑크’가 나지 않았다. 올해부터는 세수 전망이 그다지 밝지 않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 초과 세수는커녕 세입예산을 채우기도 버거울 것이란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재정 악화가 볼 보듯 뻔하다는 얘기다. 그런데도 정부는 내년 경상성장률(정부 4%대 초반 예상)의 두 배 가까운 지출 증가 계획을 짤 태세다. 내년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둔 ‘돈 풀기’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가 구체적으로 수치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내년 예산은 500조원 돌파가 확실시된다. 올해 지출 규모(470조원)에 정부의 2018~2022년 재정운용계획상 2020년 지출 증가율(7.3%)을 고려하면 내년 지출은 504조원에 달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후 최대치였던 올해 증가율(9.7%)을 대입하면 515조원에 이른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세수 여건은 나빠지는데 예산지출을 과도하게 늘리면 재정 부담이 커지고 민간 투자를 위축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며 “돈 풀기가 끝난 뒤 그 뒷감당은 미래 세대가 짊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 두 번째)이 26일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홍 부총리,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 연합뉴스
내년 재정운용 여건은 올해보다 더욱 나빠질 전망이다. 정부는 26일 발표한 ‘2020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지침’에서 세입·세출과 수지·채무 측면에서 모두 어려운 여건에 처할 것으로 내다봤다. 세수 호조가 둔화되는 가운데 복지지출은 크게 증가해 재정수지 적자와 국가채무도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진단을 내놨다.
○복지사업에 대규모 재정 투입
정부는 내년도 예산편성 지침에서 4대 중점과제로 △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사회안전망 확충 △미래성장동력 확충 △안전한 환경 등을 꼽았다. 정부는 경제 활성화와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관광 등 서비스산업과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수출지원 확대를 추진한다는 방향을 제시했다.
그러나 정작 조단위 예산이 들어가는 대형 사업은 복지 분야에 몰려 있다. 소득재분배를 내세운 사회안전망 확충과 일자리 창출 관련 사업들이다. 우선 고용보험 적용을 받지 못하는 ‘중위소득 50% 이하 저소득 실업자’에게도 월 50만원씩 6개월간 지급하는 실업부조를 내년 처음 시행하기로 했다. 1조5000억원 이상 투입될 것으로 추산된다. 올해 2학기부터 시행되는 고교 무상교육에도 내년에는 2조원가량을 투입한다. 기초연금에 올해(15조원)보다 1조7000억원 늘어난 16조7000억원을 배정한다.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회서비스 일자리 등 고용대책에도 수조원대 예산이 편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채무 급증 우려
문제는 재정이다. 당장 세수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반도체 호황과 부동산 등 자산시장 활황에 따라 법인세와 양도소득세 중심으로 세수가 호조를 보였다. 지난해 당초 계획(세입예산) 대비 초과 세수는 25조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였다. 올해는 반도체 가격 하락, 자산시장 침체, 세계 경제 성장 둔화 등으로 세수 여건이 좋지 않다. 이에 더해 재정분권 추진에 따른 중앙정부 재원의 지방정부 순이전이 3조5000억원에 달하고, 증권거래세 인하로 세수 1조4000억원이 감소할 전망이다. 이미 지난 1월 국세수입 진도율(목표액 대비 실제 징수액의 비율)은 12.6%로 전년 동월 대비 1.1%포인트 낮았다. 자칫 초과세수는커녕 세입예산을 채우기도 버거울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세출 여건도 좋지 않다. 정부 스스로 복지·의무지출 증가에 따라 재정운용의 경직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부 재량과 상관없이 무조건 투입해야 하는 예산이 점점 불어나고 있다는 얘기다. 정부는 중장기 재정건전성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셀프 진단’도 내놨다. 재정지출이 늘어나면서 국가채무 증가 속도가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빨라질 우려가 있다는 분석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재정건전성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2020년까지 40%를 밑돌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2030년 50%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했다.
○“효과 못 내고 재정 악화만 초래할 것”
임도원/성수영/김일규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