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에서 "한국의 대북 식량 제공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긍정적 조치가 될 것"이라며 지지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5/08/15c3c2dc-1b6e-48a4-a838-3980da728dc9.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에서 "한국의 대북 식량 제공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긍정적 조치가 될 것"이라며 지지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연합뉴스]
폼페이오 등 참모 "무기자금으로 구매해야"
문 대통령에 "북 궤도 이탈 방지" 맡겼지만,
비건 9~10일 방한, 협상 복귀 조건 달 듯
김정은, 인도 지원 꼬리표 수용할지 관건
이처럼 백악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식량 지원 발언을 발표에서 뺀 것을 두고 참모들과 입장차가 있는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1일 문 대통령과 백악관 정상회담에서 "난 솔직히 말해 인도적 지원은 동의한다"고 한 바 있다. 하지만 폼페이오 장관은 5일 ABC방송과 인터뷰에서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인구의 50%가 심각한 영양실조의 위험에 처했다"며 "핵무기만 사라지면 엄청난 이익이 있겠지만, 보유하는 한 계속 위험이 처하게 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도적 지원은 허용된다. 다시 말해 제재도 북한에 식료품 구매는 허용한다"며 "토요일 일을 보면서 그 돈을 자신의 주민을 돌보는 데 쓸 수 있었다는 생각에 매우 안타까웠다"고 덧붙였다. 핵·미사일 개발에 돈을 쓸 생각 말고 주민을 위한 식량 구매에 쓰라는 뜻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일 원산 호도반도에서 단거리 발사체 시험을 지켜보고 있다.[조선중앙통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5/08/8265b337-b2f8-4496-b7b1-23fb19d189ac.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일 원산 호도반도에서 단거리 발사체 시험을 지켜보고 있다.[조선중앙통신]
반면 김정은 위원장도 기존 유엔 결의안도 허용하는 인도적 식량 지원에 협상 복귀 꼬리표를 달 경우 수용할 가능성이 작다는 지적도 나온다. 제니 타운 스팀슨 센터 연구원(38노스 편집장)은 "김 위원장은 비정치적 인도적 지원을 비핵화 협상 복귀나 남북 정상회담의 조건으로 여기지 않을 것"이라며 "거꾸로 트럼프 대통령에겐 자신에 약속한 종전선언 이행과 제재 완화에 대한 유연한 입장을, 문 대통령에게는 개성·금강산관광 재개 약속부터 이행하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jjpol@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