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2. 21. 18:03ㆍC.E.O 경영 자료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내린 국내 고용지표에 대한 평가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정부가 청년층 일자리 정책에 심혈을 기울였다고 설명한 뒤 “올해를 시작할 때만 해도 큰 걱정거리였던 (40대를 제외한) 고용지표는 최근 취업자 수가 4개월 연속 30만명 이상 증가하고 고용률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상승하는 등 뚜렷하게 개선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경제에 긍정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부연했다.
반면 청년들은 극심한 청년 실업률로 허덕인다. 서울대 등 국내 16개 대학교 학생들이 주도해 만든 ‘공정추진위원회’는 지난달 서울 광화문에서 집회를 열고 “정부가 (청년) 취업률은 올랐다지만 누가 취업했는지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정부와 청년층의 인식 차는 어디서 왔을까.
20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월 청년(15∼29세) 실업자 수는 30만9000명으로 실업률 7.2%를 기록했다. 지난 6월 실업자 수 45만3000명, 실업률 10.4%에 비해 감소했다. 청년실업률 하락세는 분기별로 살펴도 뚜렷하다. 올해 3분기 청년 실업률은 8.1%로 전년도 3분기 9.4% 대비 1.3% 포인트 하락했다. 2010년 3분기 7.5%였던 청년실업률은 매년 꾸준히 증가했고, 올해 들어 증가세가 꺾인 셈이다.
공무원 신규채용도 마찬가지다. 이날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신규 채용이 이뤄진 지방공무원 규모는 3만3060명으로 전년도 2만5692명 대비 28.7% 증가했다. 특히 지방공무원 신규채용 수는 2016년과 2017년엔 각각 2만186명, 2만3명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2만5692명, 올해 3만3060명으로 증가했다.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공공기관과 지방공무원 신규채용 규모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얼어붙은 민간기업 채용…500대 대기업 33.6% “채용 줄인다”
반면 민간기업의 채용은 여전히 한파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지난 9월 매출액 상위 500대 대기업을 대상으로 올해 전체 대학 졸업 신입사원 채용계획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보다 줄인다는 기업이 33.6%로 늘인다는 기업 17.5%의 약 두 배나 높았다.
지난해 동일한 조사에서는 줄인다는 기업이 24.6%으로 늘린다는 기업 23.8%와 비슷했다. 신규채용 중 신입사원 채용만 살펴보면, 지난해보다 줄인다는 기업이 31.3%로 늘린다는 기업 13.7%의 2.3배에 달했다.
대학에서 일본어를 전공해 취업을 준비 중인 김모(29)씨는 “공공기관이나 공무원 시험에 관심이 없다면 취업 준비생이 느끼는 취업률은 상당히 낮다”고 말했다. 서울 소재 대학의 한 교수는 “민간기업의 경우 채용 공고 자체가 잘 뜨질 않는다”며 “공고가 안 뜨니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려는 제자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외국과 비교하면 어떨까. 한국의 청년실업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과 비교해도 높은 편이다. 한경연이 지난 9일 OECD 국가 청년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청년실업률은 지난해 9.5%로 2008년(7.1%)에 비해 2.4%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OECD 회원국 36개국의 평균은 10.4%에서 9.1%로 1.3%포인트 낮아졌다.
특히 한국의 청년실업자는 2008년 31만8000명에서 2018년 40만8000명으로 10년간 28.3%(9.0만명) 증가했다. 10년간 청년실업자 수가 13.9% 감소한 OECD 평균과 대조적이다. 결국 OECD 36개국 중 한국의 청년 실업률 순위는 2008년 11위에서 지난해 22위로 11계단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공공부분이 아닌 민간부분에서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공공기관과 공무원 신규 채용 등 공공 일자리 창출은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경제학부)는 “현 정부 들어 청년과 노년층 구분없이 공공부분에서 일자리가 많이 창출되고 있다”며 “공공부분을 통한 일자리 창출은 지속가능한지 의구심이 들 수 있다”며 “민간에서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상봉 한성대 교수(경제학과)도 “공공부분을 통한 일자리 창출은 부가가치 창출과 재정 문제 등 지속가능성에 한계가 있다”며 “민간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염유섭 기자 yuseoby@segye.com
'C.E.O 경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재인 퇴진만이 대한민국 생존의 길"… 광화문 가득 메운 '文 정권 규탄' 외침 (0) | 2019.12.22 |
---|---|
커지는 울산시장 '후보 매수'의혹···법원은 선거범죄 엄단했다 (0) | 2019.12.22 |
'5만원이면 술·담배 OK' 위조 주민등록증 SNS서 청소년 유혹... "징역 최대 10년, 중범죄" (0) | 2019.12.21 |
문민정부 이후 최악 대통령… 서울대 학생들 투표서 文대통령 87%로 1위 (0) | 2019.12.21 |
트럼프, '주한미군 현수준 유지' 美국방수권법에 서명 (0) | 2019.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