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기부금 현황

2007. 10. 28. 16:57이슈 뉴스스크랩

연·고大 CEO형 총장 한 해 1000억씩 모금

사립대 150곳, 10년치 기부금 분석 대학 총장 하면 선비나 근엄한 학자가 연상된다.

그러나 근래 들어 대학 총장상(像)이 바뀌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흐름은 모금활동을 통해 대학의 금고를 불리는 최고경영자(CEO)형 총장의 득세다.

대대로 성직자들이 총장을 맡던 서강대까지 전경련 부회장을 지낸 손병두 총장을 영입했다.

그만큼 살림살이가 중요해졌다는 뜻이다. 미국은 모금능력이 우수할수록 총장의 연봉도 높다.

미국의 CEO형 총장 가운데는 연봉 100억 달러를 넘는 사람이 7명이나 된다.

전국 사립대의 기부금 현황을 들여다봤다.

대학 총장 중 취임하자마자 기업 총수를 찾아다닌 사람은 내가 처음일 겁니다. (찾아가서 도와달라고) 막 떼를 썼지 뭐. 이건희 삼성 회장은 경쟁 대학들보다 더 많이 도와주겠다고 하더군요. 작고하신 정세영 현대산업개발 회장에게는 삼성이 연대 동문회관을 짓는 데 5억원 내놓는다고 했으니 현대도 그 정도는 줘야 한다고 졸라 승낙을 받아냈지요. 정 회장은 고려대 교우회장이었어요.

원조 CEO 총장으로 불리는 송자 전 연세대 총장의 회고다. 송 전 총장은 동문 25명 이상이 모이는 자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찾아다녔다며 그랬더니 신문 동정란에 국무총리보다 내 이름이 더 많이 나오더라고 말했다. 그는 재임기간(1992~96년) 동안 2000억원 정도를 모금했다. 총장 취임 당시 500억원을 모금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초과해 달성한 것이다. 요즘은 이보다 훨씬 많은 돈을 유치하는 대학이 많지만 당시로선 상당한 규모였다.

취재팀이 최근 대통합민주신당 유기홍 의원실에서 입수한 10년간 대학의 기부금 현황을 분석한 결과 CEO 총장 재직시절에 주요 대학의 기부금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쩐의 전쟁 나선 CEO 총장들

고려대는 홍일식 총장 시절인 98년만 해도 한 해 기부금 총액이 500억원을 밑돌았다. 김정배 총장 시절인 2000~2002년은 600억~700억원 선이었다. 그러나 어윤대 총장 취임 뒤에는 2004년 929억원, 2005년엔 1380억원으로 치솟았다.

당시 기업인들 사이에 어 전 총장은 저승사자로 불렸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대 경영대의 한 교수는 어떤 기업인을 만났더니 총장 때문에 아주 죽겠다. 그가 나타나면 무조건 주머니를 풀어야 한다고 하소연하더라고 했다.

어 전 총장은 기부금을 모으러 기업을 방문할 때 총학생회 간부를 데리고 가 학생들의 반기업정서가 바뀌었음을 알리는 전술을 쓰기도 했다.

어윤대 전 총장은 당시 이런 인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모금에 나섰다고 말한다. 1890년 시카고대에서 하버드대의 엘리엇 총장을 불러 일류대학의 길이 뭔지 물어봤지요. 엘리엇 총장의 대답은 교육은 돈입니다였어요. 대학과 돈의 관계는 절대적이에요.

연세대는 김우식 총장 시절에 많은 돈을 모았다. 그는 교수가 되기 전에 공장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CEO 출신이다. 연세대의 기부금 총액은 김병수 총장 시절인 99년 595억원, 2000년 687억원이었다. 그러나 김우식 총장 취임 시엔 828억원(2001년), 971억원(2002년), 1098억원(2003), 1633억원(2004)으로 크게 늘어났다.

2000년 이후 각 대학이 CEO형 총장을 잇따라 영입한 것은 이 같은 흐름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서강대 손병두 총장은 취임 시 임기 중 주요 대기업을 대상으로 1000억원 이상을 모금하겠다고 강조했다. 모금 총장이 될 것을 공개 선언한 것이다.

손 총장 이외에 동국대 오영교·광운대 이상철·건국대 오명·인하대 홍승용 총장 등도 CEO형 총장으로 분류된다. 이들 대학의 기부금 모금 성적도 우수했다. 지난해 건국대는 621억원, 인하대는 454억원, 광운대는 105억원, 동국대는 84억원, 서강대는 60억원을 각각 모금했다.

*** 동문 기부금, 고대·연대가 많아

대학이 유치하는 기부금은 ▶일반기부금 ▶지정기부금 ▶연구기부금 ▶현물 등 네 종류다. 기부자가 구체적으로 용도를 정해주는 것이 지정기부금이며, 그렇지 않은 것이 일반기부금이다. 대학이 조성하는 발전기금 등은 일반기부금이다.

기부금을 내는 주체는 기업과 단체·기관, 개인(주로 동문들)으로 나뉜다. 단체·기관은 학술진흥재단의 연구기부금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사립대 중 기부금 액수가 가장 많은 곳은 연세대지만 기업기부금 면에선 고려대가 앞선다. 고려대의 기업기부금 규모(1537억원)는 2위 한양대와 3위 연세대의 두 배에 이른다. 포항공대의 순위(19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도 눈길을 끈다. 유기홍 의원실 이혜진 비서관은 포항공대는 주로 기관이나 단체에서 주는 연구기부금에 집중돼 기업기부금 면에선 순위가 밀렸다고 설명했다.

동문들의 끈끈함을 보여주는 개인기부금도 고려대·연세대가 가장 많다. 고려대의 개인기부금은 2004년 이전까지만 해도 매년 30억~70억원 선으로 연세대보다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어윤대 총장 시절인 2004년에 438억원을, 2005년에 133억원을 거뒀다. 당시 연세대의 개인기부금은 60억~70억원이었다.

고려대의 개인기부금이 크게 늘자 연세대의 개인기부금도 덩달아 늘어났다. 연세대는 2006년 102억원의 개인기부를 받았다. 이 해 고려대의 모금액은 57억원이었다.

기부금 모금 액수에서 대학 간의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모금 상위 10개 대가 차지하는 액수가 98년엔 47.7%였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60%로 늘어났다. 상위 20개 대의 비율도 60% 선에서 2005년부터는 70%를 넘고 있다. 반면 하위 100개 대 비율이 가장 높을 때가 2002년의 13%. 거의 매년 10%를 밑돌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하위 7개 대학의 기부금 모금액은 ‘0’이었다.

이화여대 적립금 5400억원 대학은 기부자가 용도를 정하지 않은 일반기부금을 예산집행 후 남은 돈과 합쳐서 쌓아둔다. 이런 ‘적립금’ 이 가장 많은 대학은 이화여대다.

2005년까지의 적립금 누계는 이화여대가 5421억원이었다. 다음은 홍익대(3304억원)·연세대(1890억원)·동덕여대(1641억원)·경희대(1344억원) 순이다. 고려대의 적립금은 1042억원으로 사립대 중 여덟 번째다. 이기형 전국사립대학재정관리자협의회장(성균관대 예산기획팀 부장)은 156개 사립학교당 평균 적립금 규모는 260억원인데 비수도권 대학은 146억원으로 수도권대 평균의 3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기부금 투명하게 써야기부금이 편중되면 대학 재정의 격차가 더욱 크게 벌어진다. 한국대학교육연구소 황희란 연구원은 어느 정도 대학별로 기부금 모금액에 차이가 있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우리나라는 정도가 너무 심하다며 20여 개 대학이 기부금을 싹쓸이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대학의 기부금 규모가 커지면서 잡음도 발생한다. 기부자가 제2캠퍼스를 건립하라는 식으로 구체적 용도를 정해주는 데도 다른 곳에 쓰는 일이 잦기 때문이다. 최근 수백억원의 지정기부를 받은 한 지방대학에선 총장이 기부자의 뜻과 다른 곳에 돈을 써서 기부자가 “돈을 돌려달라”고 반발하는 일도 있었다.

'이슈 뉴스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건축 조폭개입 검거  (0) 2007.10.30
청계천 유지보수비 최다  (0) 2007.10.29
종로 공평빌딩 재건축  (0) 2007.10.26
성공기업은 다르다  (0) 2007.10.24
김희선 결혼  (0) 2007.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