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 실수요자 물건 기회
2008. 7. 14. 22:32ㆍ부동산 정보 자료실
경매 건수는 많고… 낙찰가율은 떨어지고… 실수요자 싼값에 '물건' 건질 기회!
![클릭하시면 원본크기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http://img.news.yahoo.co.kr/picture/2008/2/20080713/2008071318524550002_185514_0.jpg)
경매 수요자 입장에서는 경쟁률이 높다고 해서 크게 겁먹을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일부 물건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최초 감정가보다 크게 높지 않은 가격에 응찰되는 사례가 많다.
올 상반기 서울에서 아파트 경매 경쟁률이 모두 10대 1을 넘은 노원구(12.6대 1) 도봉구(12.5대 1) 중랑구(10.7대 1) 등에서도 낙찰가율이 가장 높았던 도봉구가 104.3%를 기록한데 이어 △중랑구 104.1% △노원구 103%를 보이는 등 평균 낙찰가율이 최초 감정가 대비 100%를 조금 웃돌았을 뿐이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13일 "도봉·중랑·노원구 일대는 덩치가 작은 물건이 많아 대부분 3억원 이하의 비교적 소액으로 투자가 가능하다"며 "유치권,법정지상권 등 권리분석만 철저히 하면 요즘 같은 추세에서 의외로 쉽게 좋은 물건을 값싸게 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연립·다세대 주택은 당분간 인기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아파트에 비해 매물이 많지 않은 게 변수다. 경매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 전국 경매시장에 나온 연립·다세대 주택은 2048건으로 아파트(7654건)의 3분의 1도 안되는 물량이다. 수도권은 전국에 비해서 아파트 대비 연립·다세대 물건 비율이 높은 편이나 올 6월의 경우 연립·다세대주택 물건이 740건으로 아파트(1179건)의 62%에 그쳤다.
법원경매정보업체인 지지옥션의 강은 팀장은 "연립·다세대주택은 재개발 예정지,개발호재 수혜지를 중심으로 인기가 높아 매매시장에서도 거래가 잘 이뤄져 경매까지 물건이 나오지 않을 뿐 아니라 경매시장에서도 유찰없이 1차 경매에 바로 낙찰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경매신청은 어떻게
경매는 경매 당일 2주 전에 대법원 경매정보 홈페이지(www.courtauction.go.kr)에 물건 목록이 나오면서 시작된다. 현장답사,권리분석 등 사전준비를 했더라도 경매 당일,경매 취하나 변경 등으로 일정이 바뀌는 일이 잦기 때문에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경매에선 보증금으로 응찰액의 10%를 현금·수표로 경매입찰 봉투 안에 함께 넣어서 낸다. 낙찰자가 아니면 즉석에서 돌려받는다.
경매 초보라면 경매 컨설팅회사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보통 낙찰가의 1% 정도를 수수료로 내면 권리분석 등의 도움을 받고 투자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부동산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건축 완화 탄력 (0) | 2008.07.17 |
---|---|
중소형 아파트 (0) | 2008.07.16 |
매물 홍수 세일중 (0) | 2008.07.14 |
근린주택 인기 (0) | 2008.07.14 |
아파트단지 통째로 경매 (0) | 2008.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