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델링 접고 재건축 선회
2008. 11. 5. 21:58ㆍ건축 정보 자료실
리모델링 접고 재건축으로 돌아설까? | |||||||||
여의도 삼부ㆍ 개포 한신 등 규제완화 발표후 재건축 선호 높아져 | |||||||||
재건축 규제가 대폭 풀리면서 리모델링을 추진했던 단지들이 동요하고 있다. 서울 지역에서는 1980년대 초ㆍ중반에 입주를 끝낸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사업성 재검토에 나서는 등 리모델링에서 재건축으로 변경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들 단지는 현재 용적률이 150~190%대로 고밀도 아파트여서 용적률을 획기적으로 높이지 않으면 사업성을 확보할 수 없는 곳들. 또한 중대형 평형 위주로 구성돼 소형평형 의무비율, 임대주택 의무비율을 적용받을 경우 현재보다 더 작은 평형을 배정받기 때문에 할 수 없이 리모델링을 선택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리모델링 추진위원회와 이를 반대하는 비상대책위원회가 양립했던 단지에서는 주민 간 의견대립이 더욱 팽팽해질 조짐이다. 1976년 입주한 여의도 삼부아파트(최고 15층, 용적률 187%, 866가구) 리모델링추진위원회는 재건축 규제 완화가 발표된 만큼 재건축과 리모델링을 놓고 사업성을 재검토해 볼 계획이다. 현재 삼성물산과 현대산업개발을 시공사로 선정한 상태지만 일부 주민들이 재건축에 대한 기대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장재환 리모델링 추진위원장은 "서울시에서 용적률을 어떻게 결정하는지를 지켜본 후 어떤 선택이 단지 주민에게 유리한지 따져보고 주민의 동의를 받아서 재건축을 추진할지, 리모델링으로 갈지를 결정할 것"이라며 "현재는 경기가 좋지 않아 일단 관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985년 입주한 강남구 일원동 개포한신아파트는 시공사를 선정해 놓은 상태에서 4년 가까이 리모델링이 지연되고 있다. 재건축을 해야 한다는 조합원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건축 규제 완화가 현실화돼 용적률을 높일 수 있으면 재건축으로 사업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고밀도인 은마아파트의 재건축이 사업성을 가질 만큼 용적률을 높일 수 있으면 개포한신도 리모델링보다 재건축이 유리하다"며 "그러나 용적률을 상향 조정하려면 서울시 인가 여부도 중요하기 때문에 사업 변경 여부는 두고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단지는 360여 가구이며 중소형 위주로 구성돼 있다. 강동구에서는 1986년 입주한 명일동 신동아아파트가 리모델링에서 재건축으로 사업을 바꿀 가능성이 있다. 현재 일부 조합원의 반대로 리모델링 사업이 거의 중단된 상태. 재건축을 검토해 볼 수는 있지만 재건축 사업이 성사되려면 안전진단 등 풀어야 할 문제가 많다고 주변 중개업소 관계자는 전했다. 1987년 입주한 성내동 현대아파트 역시 상황이 비슷하다. 만약 용적률 규제가 완화되면 재건축으로 사업 변경하는 문제를 놓고 조합원 간 의견이 분분할 것으로 보인다. 주민들이 재건축에 대한 기대를 갖게 되면서 그간 의욕적으로 추진하던 리모델링사업에 대한 찬성률이 낮아질 것이란 염려도 늘고 있다. 마포의 한 리모델링 추진위원회 관계자는 "5일 오전 단지 내 70여 가구주민에게 전화를 해 봤더니, 벌써 4~5가구의 주민이 `우리도 재건축으로 전환하자`는 의견을 내더라"면서 "단지의 특성상 재건축은 거의 불가능한데, 이를 잘 모르는 주민들이 재건축에 관심을 두기 시작해 리모델링이 늦춰질 수도 있다"고 걱정했다. 이 관계자는 "서울시 조례에 따르면 40년 이상이 돼야 재건축 수명연한 조건을 채우는데 이 근처 아파트들은 20년 정도밖에 안 돼 재건축은 사실상 힘들다"고 설명했다. 다른 단지의 리모델링 추진위 관계자도 "어제부터 주민들의 문의가 엄청나게 들어오고 있다"면서 "지난달까지만 해도 주민들의 70%가 리모델링을 찬성했는데, 어제 약식 설문조사를 해 보니 리모델링 찬성은 55% 정도로 낮아졌고 30%가 재건축, 나머지는 유보 정도로 변했다"고 말했다. 한편 재건축 연한에 못 미쳐 리모델링을 추진했던 15~20년 된 단지들은 현재 입장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 반포 미도아파트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미도 1차는 2019년이나 돼야 안전진단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리모델링으로 방향을 정한 것"이라며 "주민들 일부가 동요할 수는 있겠지만 재건축 연한이 되려면 한참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방향 선회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윤희 기자 / 장박원 기자 / 김선걸 기자] |
'건축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양 정부매입 신청 현황 (0) | 2008.11.06 |
---|---|
지방공장 이전 수도권U턴 (0) | 2008.11.06 |
건설 체감경기 사상 최악 (0) | 2008.11.05 |
발코니없는 아파트 확장광고는 기망행위 (0) | 2008.11.05 |
수도권 개발사업 가속 (0) | 2008.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