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금싸리기땅 96곳 풀린다

2008. 11. 12. 10:22부동산 정보 자료실

미개발 서울 '금싸라기 땅' 96곳 풀린다

미개발 서울 '금싸라기 땅' 96곳 풀린다
              뚝섬 110층규모 자동차테마파크 급물살탈듯
                서초동 롯데칠성 물류센터엔 주상복합 유력

◆ 개발 막혔던 서울 도심 땅 용도변경되면 ◆

뚝섬 삼표레미콘 용지
서울시내에 흩어져 있는 공장, 차고, 터미널 등의 땅이 개발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서울시가 11일 발표한 대규모 용지 용도변경 활성화 계획 덕분이다. 이들 땅은 대부분 원래 기능이 다해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던 곳이다.

그동안은 특혜 시비 논란으로 누구도 쉽게 건드리지 못해 사업이 거의 진행되지 못했다. 서울시의 이번 방침은 1만㎡인 대규모 용지를 용도변경해 상업ㆍ업무시설이 복합된 고층 빌딩을 지을 수 있게 하되 체계적인 개발이익환수 장치를 마련해 개발이익의 상당 부분을 공공에 환수하겠다는 것이다.

민간개발사업 활성화를 통해 도시 발전과 투자 유치, 일자리 창출 등의 효과를 낼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하고 있다.

◆ 대규모 용지 개발 용도 상향

= 현재 서울시내에는 활용 가능성이 큰 1만㎡ 이상 땅이 96곳 3.9㎢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공장 터미널 등 민간 소유 39곳(1.2㎢)과 철도역사, 군부대, 공공기관 이전지 57곳(2.7㎢) 등이다. 이 중 1만~5만㎡ 이하가 전체의 75%인 72곳, 5만㎡ 이상이 24곳이다. 이들 용지를 개발하기 위해 시는 용도지역 변경을 적극적으로 허용해 개발을 활성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이때 제기될 수 있는 개발이익 사유화 논란을 없애기 위해 개발이익을 공유화하는 시스템을 마련했다.

기부채납 토지에 도로와 공원 등 공공시설뿐만 아니라 문화ㆍ복지시설, 장기 전세주택 등 사회적 공익시설도 조성할 수 있도록 했다.

용도변경에 따른 혜택을 저소득층과 지역 주민들이 누릴 수 있게 되고 해당 지역 토지 활용도가 높아져 경쟁력 있는 도시 공간 창출이 가능해진다고 시는 설명했다.

이 시스템은 개발용지 내 토지로만 한정했던 기부채납 시설 대상을 개발용지 외 땅과 건물ㆍ토지로 확대했다. 아울러 시는 그동안 임의로 이뤄져 온 기부채납 비율을 용도변경 유형별로 20~40%(사업대상 용지 면적 기준)로 설정했다.

예를 들어 3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변경시에는 사업대상 용지 면적의 20%,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할 때는 40%, 준주거지역을 상업지역으로 변경할 때는 30% 기부채납 비율이 각각 적용된다. 서울시는 의견수렴 과정을 거친 뒤 내년 초부터 이 제도를 본격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 대상 지역은 어디

= 성동구 뚝섬 현대자동차 개발 예정지(현 삼표레미콘 용지)와 서초동 롯데칠성 물류센터, 삼성동 한국전력, 시흥동 대한전선 용지 등 대규모 땅들의 개발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삼표레미콘 용지 3만1378㎡에는 현대자동차그룹이 110층 규모 초고층 자동차 테마파크 빌딩을 짓는다는 계획이다. 이곳은 현재 1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지정돼 있어 사실상 개발이 불가능한 지역이다. 성동구와 현대차 측은 현재 용도지역 상향을 골자로 한 도시관리계획 변경안을 마련 중이다. 그동안 서울시는 특혜 논란을 의식해 이 지역 용도변경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이었으나 개발이익환수 시스템이 마련되면 초고층 건립 계획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서초구 서초동 롯데칠성 물류센터 용지 6만9395㎡도 개발이 유력시되는 곳이다. 삼성동 한전 용지와 더불어 강남에서 몇 남지 않은 노른자위 땅으로 평가받는다. 롯데 측은 이곳에 주상복합과 상업시설로 개발하는 안을 구상 중이다. 롯데칠성 용지가 개발된다면 인근 삼성타운, 강남역 일대 상업ㆍ업무시설 등과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금천구 시흥동 대한전선 용지 8만2982㎡에는 대한전선 측이 대규모 주거단지를 계획하고 있고 중랑구 망우동 상봉터미널 2만8528㎡에도 주상복합 건립이 추진 중이다. 강서구 가양동 CJ 공장과 대상 용지, 광진구 동서울터미널, 지방 이전이 추진되는 삼성동 한국전력 용지, 중구 신당동 경찰기동대 용지, 성동구치소, 마포구 산업인력관리공단 등도 개발이 가능해지는 지역이다.

[김선걸 기자 / 이호승 기자 / 사진 = 이충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동산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관리대책  (0) 2008.11.15
부동산 바지 계약자 비상  (0) 2008.11.12
서울 층수제한 풀린다.  (0) 2008.11.07
부동산 투자전략  (0) 2008.11.07
경매시장 경기한파  (0) 2008.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