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0억규묘 공공IT사업
2008. 11. 13. 17:59ㆍ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900억원 규모 공공IT사업 나온다 |
정부통합전산센터 유지보수 예산 확정…'가뭄 속 단비' 기대 |
강은성기자 esther@inews24.com ![]() |
900여억원 규모의 대형 공공정보화 사업이 정부통합전산센터를 통해 발주될 예정이어서 최근 극심한 사업 기근 현상을 겪고 있는 관련 업계에 생기가 돌고 있다.
◆1·2센터 합해 900여억원 예산 배정 이번 사업의 총 규모는 약 900억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대전 제1정부통합전산센터는 유지보수와 위탁운영을 분리해 발주하며 총 예산은 540여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주전산기 서버 및 스토리지 등 하드웨어 부문▲DB를 비롯한 각종 소프트웨어 부문▲네트워크▲보안 등 기능별 유지보수에 ▲우체국 금융▲우편물류 및 사무경영▲조달시스템 등의 센터 조직별 3개 사업으로 발주될 예정이다. 전문 업체를 통한 위탁 운영은 각각 ▲정보시스템▲통합운영▲네트워크, 보안▲보안관제 등으로 구성될 계획이다. 광주에 위치한 제2정부통합전산센터 역시 유지보수와 위탁운영을 통합해 입주기관별 4개 사업으로 분리해 발주할 예정이다. 사업 규모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약 350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정부통합전산센터 관계자는 "이미 지난해에도 1, 2센터가 입주해 있는 39개 정부 기관 시스템에 대한 통합유지보수 및 위탁운영 서비스를 받았다"며 "이번에는 센터내 서버 통합도 동시에 이뤄지는 만큼 시스템 효율성 극대화를 통해 예산을 절감하고 데이터센터 효율화에도 가속도가 붙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업계 "마지막 먹거리" 각축 예고 사업 입찰을 위한 IT 서비스 업체들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내년 공공정보화 예산이 10% 이상 삭감된데다 서비스 업체별 사업 입찰 제한폭이 더욱 확대된 상황이어서 이번 유지보수 사업을 반드시 수주해 '긴 가뭄'을 대비한다는 계획이다. 정부통합전산센터에서 사업 계획을 세우는 단계부터 물심양면으로 협조하는 등 '물밑작업'도 치열하다. 한 IT 서비스 업체 관계자는 "사실 이번 사업의 경우 시스템 유지보수이기 때문에 개발과 같은 고도의 기술 서비스가 이뤄지지는 않는다. 더불어 수익성도 높은 것은 아니다"면서도 "그러나 사업별 규모가 적지 않아 매출액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는만큼 사업 수주를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종 1위기업 구조조정 (0) | 2008.11.14 |
---|---|
[스크랩] 경제위기와 그 해결방안(누가 어떻게 할 것인가?) (0) | 2008.11.13 |
종부세 결정문 요약 (0) | 2008.11.13 |
부자 감세 대신 일자리창출 (0) | 2008.11.13 |
전경련!감원 대신 임금조정으로 (0) | 2008.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