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2. 10. 08:46ㆍ부동산 정보 자료실
부동산개발업체 하루 1곳 폐업 '찬바람'
서울 소재 개발업체 하루 1개꼴 등록증 반납
경기 안성에서 아파트건설 시행을 준비해온 이모 대표. 그는 대형 저축은행 2~3곳에 150억원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타진했지만 번번이 거절당했다.
이 대표는 "저축은행들이 자체 구조조정을 이유로 신규 대출심사를 안 한다"며 "인허가를 끝내도 사업 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라고 토로했다.
'부동산의 꽃'으로 불리는 디벨로퍼(시행사)들이 경기 침체로 찬바람을 맞고 있다.
9일 서울시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 소재 개발업체들이 지난달 중순 이후 하루 1개꼴로 개발업 폐업을 선언하고 있다.
2007년 11월 부동산개발업법 시행 이후 1월말까지 등록한 서울소재 부동산개발업체는 총 578곳. 이중 등록증을 다시 시에 반납한 업체는 올들어 급증해 모두 36곳에 이른다. 2월에만 월드건설 등 7곳이 등록증을 반납했다.
한 시행사 관계자는 "개발업 등록증을 갖고 있으면 개발 전문인력 2명 이상을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한다"면서 "사업이 없는데 비용 부담이 커 당분간 면허증을 반납하기로 했다"고 털어놨다.
개발업체들이 사업 부진으로 불황에 빠지면서 이들의 PF대출 관련 채무를 인수하는 시공사들도 늘고 있다.
성원건설은 대구 달성 아파트 시행사인 한이건설의 388억원 채무를 인수한다고 5일 공시했다. 신세계건설도 최근 시행사가 차입한 100억원에 대해 채무인수를 결정했다. 대우조선해양건설 역시 지난달초 경기도 남양주 장묘사업 시행사가 채무 불이행에 빠지자 연대 보증한 채무 70억원을 인수했다.
그나마 사정이 낫다는 대형 개발업체들은 인력 감축에 들어갔다. A사는 최근 총 인원의 약 30%인 50명 안팎을 구조조정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지난달 1차 희망 퇴직을 받았다. A사 측은 희망 퇴직자 수가 많지 않자 2차로 퇴직자들을 선별 중이다.
전문가들은 민간주택 공급 주체인 부동산 개발업자들의 기반이 무너질 경우 주택 부족 현상이 되풀이 될 것을 우려했다. 일심건설의 이영준 부사장은 "부동산 개발업은 수년간의 인허가 과정이 필요한 사업"이라며 "이들의 공급 기반이 무너지면 주택 품귀로 시장 불안을 불러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타운의 힘' 주변상가 가격 25%↑ (0) | 2009.02.11 |
---|---|
상가세입자에 우선분양권 (0) | 2009.02.10 |
부동산 노후준비 (0) | 2009.02.09 |
부자들은 부동산 이렇게 사고 판다 (0) | 2009.02.07 |
주택시장 봄 바람 (0) | 2009.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