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8. 13. 22:02ㆍ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쌀 가공식품 회사서 비상경제대책회의, 쌀소비 방안 주문
송기용 기자 | 2009/08/13 11:36
이명박 대통령은 13일 "국내 쌀 수요가 계속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연간 16만톤에 달하는 쌀 잉여량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소비진작 방안을 서둘러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인천시 강화읍 소재 쌀 가공식품 회사 한스코리아에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쌀을 원료로 한 각종 제품을 소개받은 뒤 회의 참석자들과 쌀 소비 촉진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농민을 위해 쌀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면 좋겠다"며 "쌀 막걸리, 쌀 건빵 등 쌀을 원료로 한 각종 제품의 원료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특히 "쌀 가공식품은 우리 체질에 맞는 건강식"이라며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산학연이 공동으로 연구 개발하는데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쌀을 2~3년 보관하는 것보다 남는 쌀은 저렴하게 공급하자"며 "그러면 정부는 쌀 재고 보관비용도 줄일 수 있고 쌀 제품 생산기업은 적은 비용으로 양질의 쌀을 확보해 제품을 만들 수 있어 제품단가도 낮출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쌀이 2년 이상 지나면 싸지지 않느냐. 이럴 때 소비하면 된다"고 거듭 강조한 뒤 "쌀 소비를 늘려야 농민들이 사는 만큼 나도 앞으로 쌀라면을 먹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밀은 멀리서 가져오는데 우리 땅에서 나는 쌀은 건강식"이라며 "군 장병들이 먹는 건빵도 쌀로 만들어서 많이 보급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이 현장에서 비상경제 대책회의를 주재한 것은 지난 6월 초 경기도 용인의 에너지관리공단 이후 처음으로 최근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쌀 재고 증가에 대한 대책을 직접 챙기겠다는 취지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지난해 3월 첫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연간 쌀 보관료가 6000억 원이나 되는데 이런 보관비용을 감안하면 묵은 쌀값을 낮춰 기회비용의 개념으로 처리 한다"고 지적하는 등 쌀 재고문제에 관심을 표명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회의를 마친 뒤 강화군 농업기술센터를 찾아 정부가 시행중인 '농기계 은행사업' 현황을 점검했다.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민ㆍ영세 자영업자 못낸 세금 감면 (0) | 2009.08.13 |
---|---|
트위터도 당한 한국 고추장 (0) | 2009.08.13 |
개정 언론중재법 시행 (0) | 2009.08.13 |
8000만원짜리 TV 보셨나요 (0) | 2009.08.13 |
몰입의 즐거움 (0) | 2009.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