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무역의존도 90%대 `사상 최고`

2009. 11. 11. 09:45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韓 무역의존도 90%대 `사상 최고`

매일경제 | 입력 2009.11.11 08:37

 

지난해 글로벌 금융 위기 속에 한국 경제의 무역의존도가 사상 처음으로 90%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경제에서 대외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인 경상 국민소득 대비 수출입 비중이 92.3%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처럼 소규모 개방경제 체제하에서는 무역 의존도가 미국, 영국 등에 비해 높을 수밖에 없지만 불과 1년 만에 급증해 경제 위기 속에 무역의존도의 심화와 내수 부문의 상대적 취약성이 더욱 커졌음을 보여줬다.

한국의 무역 의존도는 지난 2000년 62.4%를 기록한 이래 2001년 57.8%, 2002년 54.6%, 2003년 57.9%, 2004년 66.2%, 2005년 64.6%, 2007년 69.4%로 50~60%대를 맴돌았는데 지난해 갑자기 평년보다 30% 포인트가 급등하면서 90% 선을 넘어섰다.

이처럼 지난해 무역 의존도가 전년 대비 급증한 국가는 한국이 유일했다. 지난해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45.4%, 수입 의존도가 46.9%로 역대 최고치에 달했다.

국가별로 볼 때 한국의 지난해 무역 의존도는 93개 조사 대상국 중 11위로 최상위권이었다.

무역 의존도가 가장 높은 국가(지역)는 싱가포르와 홍콩으로 각각 361.7%와 348.4%에 달했으며 벨기에(188.3%), 말레이시아(168.5%), 슬로바키아(152.7%), 헝가리(138.2%), 체코(133.0%), 태국(128.7%), 대만(126.8%), 네덜란드(118.4%), 한국(92.3%), 코스타리카(84.0%) 순이었다.

아시아 지역만 놓고 보면 한국은 싱가포르, 홍콩, 말레이시아, 태국, 대만에 이어 6번째로 무역 의존도가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

무역 의존도 상위권에 오른 국가들은 대부분 지난해 글로벌 경제 위기 당시 경제가 직격탄을 맞았다.


반면 무역 의존도가 낮은 주요 국가는 일본(31.6%), 인도(37.7%), 호주(39.1%), 영국(41.2%), 스페인(43.3%), 프랑스(46.0%), 러시아(47.0%) 등 대체로 인구가 많고 내수 시장이 발달된 나라들이었다.

정부는 무역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내수 시장 육성에 필요한 교육, 의료, 법률 등 서비스산업을 조기에 선진화하고 관광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한 소비 진작을 유도할 방침이다.

[석남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