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8. 8. 09:00ㆍ이슈 뉴스스크랩
한미동맹 값비싼 대가 우려…중동 최대교역 막히나 | |
이명박 정부 지나친 대미의존이 ‘사태’ 부추겨 미국요청 수용 독자제재 나설땐 큰피해 예상 고위관리 “어떤 파장 일으킬지…잠 못잘지경” | |
![]() |
![]() ![]() ![]() |
[미, 이란제재 동참 압박 파장] 정부 ‘이란제재’ 딜레마
“지금으로선 이란 제재 문제가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 감을 못 잡겠다. 잠을 못 잘 지경이다.” 한 경제부처 고위관계자의 말이다. 미국의 이란 제재에 따른 우리 기업들의 피해가 이미 가시화하고 있는데다, 미국 요청대로 ‘독자제재안’까지 만들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치는 후폭풍이 만만찮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명박 정부가 한-미 동맹에만 치중하다, 결국 가장 중시했던 ‘경제’에 큰 상처를 입어야 하는 딜레마에 빠진 셈이다.
정부는 동맹과 경제를 동시에 생각하는 신중한 행보를 벌여야 하지만, 이미 천안함 사태 대응 과정 등에서 미국의 외교 지원을 크게 받은 터라, 미국의 요구를 떨쳐버리는 게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원유 10% 수입…막히면 경제에 치명적 미국은 이란과 경제관계가 전무하지만 우리나라는 사정이 다르다. 전체 원유의 약 10%를 수입하고, 한해 교역규모가 100억달러에 이르는 중동지역 최대 교역상대다. 특히 ‘석유 한방울 나지 않는’ 우리나라로서는 원유·천연가스 세계 2위 보유국인 이란과의 관계가 악화할 경우의 파장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달석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시장연구실장은 “만약 이란산 원유 도입에 차질이 생길 만큼 상황이 악화한다면 한국 내 유가는 물론 전세계 유가를 전반적으로 끌어올리게 될 것”이라며 “현재 회복되고 있는 세계경제에도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대이란 수출 규모 자체는 전체 수출의 1%로 미미하지만, 관련된 중소기업이 2000여개나 된다는 점도 최근 가뜩이나 ‘친서민’을 강조하고 있는 정부로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특히 수출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달리 금융 거래선이 중단되면 2~3개월을 버티기 힘들다. 이란 쪽 수주물량이 많았던 건설·플랜트·조선 분야의 피해도 계속 불어날 수 있다.
정부는 미국의 제재로 이미 막혀버린 대이란 결제 통로를 만들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에서 제3의 길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도 기다리고 있지만, 미국의 제재 취지와 실무적인 여건을 고려하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이슈 뉴스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많은 쌀을 어찌할꼬`..속타는 농정당국 (0) | 2010.08.09 |
---|---|
정부 "지속성장 위해 브릭스 협력강화 필요" (0) | 2010.08.08 |
75조 빚더미 LH, '결국 나라 곳간 몫?' (0) | 2010.08.06 |
MB의 대기업 '사회적 기여'는 기부? (0) | 2010.08.05 |
IMF, 한국 물가조사방식 개선 권고 (0) | 201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