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빚 갚을 능력 외환위기 후 최악

2010. 9. 29. 09:11이슈 뉴스스크랩

가계, 빚 갚을 능력 외환위기 후 최악

월급 7년치 모아야 상환가능

경향신문 | 송현숙 기자 | 입력 2010.09.28 22:32

 

가계소득으로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상승으로 이자비용이 증가할 경우 부실화될 가능성이 있는 가계부채 규모도 크게 늘어나 금융회사의 부실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28일 신용평가회사인 한신정평가가 가계부채 현황과 금융업권별 리스크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가계순상환여력(가계소득에서 세금이나 생활비 등을 지출하고 남은 저축 가능금액) 대비 가계부채 배수는 7.2로 나타났다. 부채를 다 갚으려면 생활비를 빼고 최소 7년을 넘게 모아야 한다는 얘기다.

가계부채 배수는 2003~2005년 6.4, 2006년 6.8, 2007~2008년 6.7 등이었다. 가계부채 배수 증가는 가계부담이 커져 가계는 물론 이를 빌려준 금융회사의 부실화 가능성이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금융권역별 가계부채 부실가능금액 산출에서는 저축은행과 여신금융사(카드·캐피털 등)의 부실가능 규모가 은행과 보험사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이자비용이 20% 증가할 경우 저축은행이 대출해 준 전체 가계부채 가운데 9.3%인 6385억원이, 여신금융사는 3.5%인 3690억원이 각각 부실가능금액으로 추정됐다. 같은 조건에서 은행과 보험사는 부실가능금액이 3조9602억원과 1조3101억원으로 규모는 컸지만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2%와 2.0%에 불과했다.

한신정평가 이혁준 책임연구원은 "저축은행과 여신금융사의 경우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비용 변동폭이 다른 금융업종에 비해 상당히 큰 편"이라며 "차주들의 신용등급과 가계소득이 낮다는 점을 고려하면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 송현숙 기자 song@kyunghya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