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1. 16. 08:43ㆍ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헤럴드생생뉴스 | 기사전송 2010/09/15 09:33
이명박 대통령의 공정사회 건립을 위한 바람이 재계 총수들에게 불어닥쳤다.
이 대통령은 14일 ”선진사회, 특히 공정한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가진 이들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사회 지도층에세 요구되는 도적적 의무)가 필요하다“며 나눔과 기부 문화의 확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기부와 나눔을 회삿돈이 아닌 사재를 통해 하라는 것이다.
이 대통령의 공정한 사회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각계각층으로 불고 있는 상황이다. 기업인들을 향한 이 대통령의 이 같은 독려는 스스로 전재산을 기부하며 나눔문화에 앞장서왔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007년 이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노후에 부부가 살 집 한 채만 남기고 모두 사회에 돌려줄 생각이다“고 공언했다. 이후 전 재산의 대부분인 331억여원을 기부하며 사회환원 약속을 지켰다. 총수들의 입장은 이와는 다소 다르다.
최근의 ‘공정한 사회’ 열풍이 아니더라도 기업 총수들의 사재출연 약속은 꾸준히 있었다.
지난 2003년 최태원 SK그룹 회장, 2006년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 2006년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의 공언은 유명하다. 하지만 대부분 자발적인 아닌, 특정 사건과 연루된 보상 성격의 사재출연이었다. 또한 약속 이행에 있어서는 여려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물론 5년간 남촌재단에 사재 출연한 허창수 GS그룹회장의 사례나 3500억을 사재 출연한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처럼 꾸준히 약속을 지킨 경우도 있으나 이 대통령이 주문한 ‘사재 출연’이 순탄치 않은 과정을 걷게 되는 이유는 분명히 있다. 사태 수습과 우호적인 사회 분위기로의 전환을 꾀하며 히든 카드로 내걸었던 사회환원 공언이 ‘나눔문화 동참을 위한 주문’으로 공론화된 것은 재계 총수들의 입장에서는 전전긍긍할 만한 사안인 것이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은 ”큰 돈을 한 번에 덜컥 내라는 것이 아니라 작은 돈을 꾸준히 내거나 작은 봉사를 꾸준히 하는 사람을 이 사회가 격려하는 문화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공정사회 기치를 내건 MB정부의 주문에 총수들의 입장은 이전보다 더 난감해졌다.
고승희 기자/shee@heraldm.com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건너오면 원가의 4~5배… 한국소비자는 '봉' (0) | 2010.11.16 |
---|---|
김인경, '오초아 인비테이셔널' 우승상금 전액 기부 (0) | 2010.11.16 |
<취재진 식재료 23t…G20의 또다른 뒷얘기> (0) | 2010.11.15 |
경기 100개 초중고 교장실 없앤다 (0) | 2010.11.15 |
'빚 개미' 급증… 신용거래잔액 6조 육박 (0) | 2010.11.15 |